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4일 취임 직후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은구비서로 골목형상점가를 방문한 데 이어 동구의 중앙시장활성화구역을 찾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소비촉진과 회복지원을 중기부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 자리에서 한 장관은 상인 대표들과 티타임을 통해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소비진작을 위한 정책 추진 상황 등을 점검했다.
김은희 은구비서로 상인회장은 “2023년에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돼 현재는 모든 점포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이고 올해 중기부 특성화시장 지원사업에도 선정돼 상인들 모두가 고무돼 있다”며 “골목형 상점가도 전통시장처럼 소비 진작 정책 대상에 포함돼 상권이 큰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박황순 중앙시장활성화구역 상인회장도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며 시장 전체 매출도 줄고 있는데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시장도 기대가 크다”며 “소비쿠폰이 전통시장과 영세 소상공인에게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고 단기적 행사가 아닌 안정적인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정책적 뒷받침이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 장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국민들이 골목상권과 전통시장 등 취약 상권에서 현명한 소비에 적극 동참해주길 부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통시장이나 골목형 상점가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지역경제의 주요 기반을 이루는 현장인 만큼 정부는 단기적 소비 촉진을 넘어 위기 이후 다시 설 수 있는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며 “상인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곧 민생 회복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라고 말했다.
한성숙 장관은 앞서 이날 오전 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최우선으로 소상공인의 사회·재난 안전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소상공인의 회복과 성장을 돕고, 디지털과 인공지능(AI) 등 혁신 기술을 통해 중소벤처 기업의 진짜 성장을 설계하고 환경을 조성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소상공인에 대해 “상환기간 연장·금리감면 등으로 채무부담을 경감하며 고정비용 부담도 완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중기부, 중소 제조기업 디지털 기반 산재예방 R&D 지원과제 모집
- “스타트업 특허·상표 출원 시 자금조달 최대 17.1배 높다”
- [데스크칼럼] 정부로 향하는 AI 전문가들…기대감 높아진 IT·벤처업계
- 제주혁신센터, ‘2025 AI 기반 오픈이노베이션 밋업’ 성료
- 우버, 루시드에 3억 달러 투자…“로보택시에 루시드 SUV 도입”
- 사업 모델 다각화 나서는 오픈AI…경쟁사 ‘GCP’와 인프라 계약 체결
- 국내 벤처 3대 단체, 민간 주도 ‘생태계 확장’ 협력 방안 논의
- [데스크칼럼] 올해 상반기 투자 흐름이 말해주는 스타트업 환경 변화
- 강원혁신센터, ‘2025 강원관광 IR 피칭데이’ 성료
- 중기부, AI·딥테크 유니콘 육성 시동…모태펀드에 3,100억원 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