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서비스 간 온·오프라인 연계 강화
네이버페이(Npay)가 제주은행과 양사의 디지털 기술 및 플랫폼 역량, 오프라인 인프라를 기반으로 결제·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는 디지털 생태계 확장 및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협약을 통해 온·오프라인 모든 영역에서 Npay와 제주은행의 서비스 연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제주은행의 신용·체크카드 발급 시 Npay 결제수단으로 간편하게 바로 등록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7월 초 도입하고 제주대 등 도내 대학 캠퍼스 내에서도 Npay QR 현장결제 인프라를 확대 중이다.
추후 AI 얼굴인식 기술 기반 ‘페이스사인 결제’를 도내 대학 캠퍼스에 확산할 수 있도록 협력할 계획이다.
앞서 양사는 제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제주은행이 발행하는 지역화폐(탐나는전)를 지난 5월부터 Npay에 연동해 제주도내 약 6,600여개의 QR 결제처 및 제주 전역의 삼성페이 결제처에서 이용이 가능하도록 제공 중이다.
추후 제주은행 앱에서도 Npay 대출 비교 서비스로 연결하여 다양한 금융사의 대출 상품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Npay 신용대출 비교 서비스 이용 시 제주은행 신용대출 상품에 Npay의 대안신용평가모형(Npay 스코어)을 적용해 대출 차주에게 보다 유리한 한도·금리 혜택을 제공하는 등 금융 분야에서의 협력도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연내 Npay의 오프라인 결제 디바이스인 커넥트 출시 후에는 제주 지역 내 소상공인 상점, 대학교 캠퍼스, 관광지 등에 빠르게 확산돼 서비스 사용자들이 다양한 가맹점에서 커넥트를 통해 온·오프라인 모두 연결될 수 있도록 협력할 계획이다.
Npay 박상진 대표는 “기술과 플랫폼을 통해 제주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고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무는 디지털전환이 가속화될 수 있도록 제주은행과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KB국민은행, 화상상담 활용 ‘풀뱅킹 서비스 시스템’ 특허 취득
- 실시간 통화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개시
- “제2 SGI서울보증 사태 막는다”…금융사 중대 보안사고 시 징벌적 과징금
-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시중 은행·카드사와 협업…신상품 출시
- 21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에 ‘네카토’ 신청자 모집 경쟁
- KG이니시스, 쇼핑몰 자체 페이 지원 생체인증 출시
- 토스플레이스·GS칼텍스, 일체형 토스프론트 결제 단말기 도입 ‘맞손’
- 네이버페이 박상진 “글로벌 탑티어 핀테크 플랫폼으로 도약”
- 카카오페이·코나아이, 지역사랑상품권 활성화 협력
- 올해 금융산업 주요 키워드는 ‘망분리’·‘제4인터넷은행’·‘마이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