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가 인공지능(AI) 시대의 새로운 결제경험을 위한 핵심 기술을 공개하며 사용자가 자연어 대화만으로도 손쉽게 결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에 선보인 ‘결제 MCP(Model Context Protocol)’와 ‘에이전트 툴킷(Agent Toolkit)’은 AI에이전트와 결제 시스템의 안전하고 유연한 연동을 지원해 개발자들이 혁신적인 AI 결제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결제 MCP는 AI에이전트와 결제 API를 안전하게 연동하기 위한 기술이다. 카카오페이 결제 시스템은 단순한 API 호출이 아닌 매일 수백만 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핵심 인프라다. 카카오페이는 보안·안정성 등 결제 시스템이 갖춰야 할 복잡한 요구사항을 고려해 MCP를 선택했다.
MCP는 AI 모델과 외부 도구 간의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로, AI가 외부 시스템의 기능을 안전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는 멀티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는 에이전트 툴킷도 개발해 개발자들이 AI챗봇과 자연어로 소통하며 손쉽게 결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개선했다.
‘툴(Tool)’은 MCP에서 AI가 호출할 수 있는 개별 기능으로, 카카오페이 에이전트 툴킷은 결제 테스트, 결제 준비, 승인, 취소, 상태 조회 등 기본적인 결제 기능을 포함해 총 7개 핵심 결제 API를 툴 형태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AI에이전트는 결제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결제 상태를 조회하거나 자연어 명령만으로도 결제 링크를 생성하는 등 다양한 결제 관련 시나리오를 처리할 수 있다고 카카오페이는 설명했다.
복잡한 프로세스 없이 AI에 결제 기능을 연동할 수 있어 개발자의 부담을 줄이고 사용자는 더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결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기술은 AI에이전트-MCP-카카오페이 오픈 API로 이어지는 구성으로 설계됐다. 특히 랭체인(LangChain), 버셀 AI SDK(Vercel AI SDK), 오픈AI SDK(OpenAI SDK) 등 다양한 AI 프레임워크를 지원해 개발자가 각자 개발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 편의성을 높였다.
카카오페이는 “이번에 공개한 MCP 및 에이전트 툴킷은 결제 AI시대를 준비하는 첫 걸음”이라며, “앞으로도 기술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신뢰를 최우선으로 하며 AI시대의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카카오 2분기 실적발표, 매출·영업익 분기 최대 ‘어닝 서프라이즈’
- “국내 기업 4곳 중 1곳은 에이전틱AI 도입했다”
- 관세 불안 속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1천억 달러 도달
- KB국민은행, 퇴직연금 ‘AI투자일임서비스’ 오픈
- 네이버·업스테이지·SKT·엔씨AI·LG AI연구원…‘K-AI’ 대표팀 윤곽
- 신한DS·인스웨이브, 금융 특화 AI서비스 공동 발굴 ‘맞손’
- KT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국정원 ‘보안기능확인서’ 획득
- 실시간 통화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개시
- 카카오페이, 소상공인 대상 ‘QR코드 주문 시스템’ 구축 지원
- AWS “아마존 베드록에서 오픈AI 오픈 웨이트 모델 활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