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경찰청, 미래치안 혁신기술 전략 세미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이 방위사업청,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국방기술진흥연구소(KRIT) 및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인공지능(AI) 반도체 기반 미래치안 기술 전략 세미나를 열고 향후 발전 전략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최근 AI반도체가 미래 기술 혁신의 핵심요소로 부상함에 따라 경찰청은 지난 5월 AI반도체를 치안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전략적 기술개발과 과제 도출을 목표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치안 인공지능 반도체 워킹그룹’을 출범시킨 바 있다.
90일간 총 7차례의 전문가 회의를 통해 총 7개의 현장 수요 기반 과제를 도출했는데 각 과제는 AI반도체의 고속 연산, 저전력 처리, 실시간 분석 기능을 활용해 치안 현장의 대응 역량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13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세미나에 관계부처 관계자와 산·학·연 전문가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AI반도체의 국내외 기술 동향과 활용사례를 공유했다. 2부 패널 토론에서는 워킹그룹 회의를 통해 도출한 7개 과제의 소개와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AI 바디캠과 스마트글래스는 영상보안 및 통신 기능이 탑재된 AI반도체 기기로 수사 영상의 정보 보호 및 증거 무결성을 확보하는 증거보안관 체계 개발이 핵심 내용으로 소개됐다.
AI 기반 신속 마약검출 키트는 임피던스 분광 기술과 광학 스펙트럼 분석 기술을 결합한 이중 진단 체계로 국산 AI반도체 모듈에서 실시간 처리돼 현장에서 마약류 존재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기술로 눈길을 끌었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치안은 국민의 일상과 안전에 직결되는 핵심 영역으로 치안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국산 AI전환 기기를 활용한 효율적인 경찰력 제고 및 치안 AI전환이 중요하다”며 “경찰청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국산 AI반도체가 치안 분야에 확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정부·통신3사 AI 투자협력 선언식…3천억원 규모 자펀드 결성
- NIA, ‘LLM 안전성·신뢰성 평가 데이터셋 구축’ 사업 착수보고회
- 과기정통부, 한중·한일 차관급 회담…디지털·AI 협력 논의
- 네이버·업스테이지·SKT·엔씨AI·LG AI연구원…‘K-AI’ 대표팀 윤곽
- 세미파이브,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신청…IPO 절차 본격화
- 글로벌 벤처캐피탈(VC) 자금 쓸어담는 AI…투자 쏠림현상 심화
- 생성AI 추론 성능 60% 개선…국내 연구진, NPU 핵심 기술 개발
- ‘대중 수출통제’ 악재에도…엔비디아, 역사적 신고가로 시총 1위 탈환
- AI·디지털 활용해 재난·예측 대응…정부, 민·관 협력 확대
- SK하이닉스, 신소재 적용 ‘고방열 모바일 D램’ 공급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