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4년 간 최대 7.2GWh 공급, 북미 진출 본격화
SK온이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현지 생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북미 ESS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SK온은 4일 재생에너지 기업인 플랫아이언에너지개발(Flatiron Energy Development)과 1GWh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21년에 설립된 플랫아이언은 대규모 ESS 개발·운영에 특화된 재생에너지 개발사다.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부지 확보부터 설계·시공·운영에 이르기까지 ESS 사업의 전 과정을 총괄하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과 사모펀드 헐스트리트에너지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양사 간 이번 계약으로 SK온은 플랫아이언이 추진하는 매사추세츠주 프로젝트에 LFP 배터리가 탑재된 컨테이너형 ESS 제품을 2026년에 공급한다.
플랫아이언이 2030년까지 매사추세츠주를 포함한 미국에서 추진하는 6.2GWh 규모의 프로젝트에 대한 우선 협상권도 확보하면서 양사 협의를 통해 2026년부터 4년간 최대 7.2GWh 규모의 ESS 제품을 공급하게 된다.
SK온은 내년 하반기부터 ESS 전용 LFP 배터리 양산에 돌입한다. 이를 위해 미국 조지아주 SK배터리아메리카 공장의 전기차(EV) 배터리 생산라인의 일부를 ESS 라인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SK온은 전기차 대비 크기와 무게 제약이 적은 ESS 제품에 가격 경쟁력과 안정성이 높은 LFP 파우치 배터리를 적용한다.
SK온은 “일반적으로 ESS 제품은 일정 전압 확보를 위해 랙(Rack) 단위 설계가 필요하나 SK온은 랙보다 더 작은 단위인 모듈 기반 설계로 용량을 유연하게 구성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인접 모듈로의 열 확산 방지 솔루션,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 기반의 배터리 진단 시스템 등을 적용해 높은 수준의 안전성도 확보했다. EIS는 배터리에 작은 전기 신호를 보내고 배터리 내부 저항과 반응 특성을 파악해 배터리 상태를 진단하는 기술이다.
이석희 SK온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7월 열린 설명회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미국 ESS 시장에 적극 진출해 사업 영역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SK온은 ESS용 LFP 배터리 생산으로 제품 라인업과 사업 포트폴리오를 한층 강화해 일시적 전기차 수요 둔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안정적 성장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올해 말 예정된 국내 배터리 ESS 장주기 프로젝트에 대응하기 위해 LFP 국내 생산 계획도 수립하고 있다.
최대진 SK온 ESS사업실장은 “이번 계약은 SK온이 배터리 케미스트리와 사업 포트폴리오를 동시에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첨단 배터리 기술과 현지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추가 고객사를 확보해 북미 ESS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나단 푸어 플랫아이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기술력과 현지 생산 능력을 지닌 글로벌 배터리사와의 협력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며 “SK온과 파트너십을 계기로 예정된 복수의 프로젝트에서도 협력을 이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온, 에코프로와 블랙파우더 공급 계약…배터리 순환 생태계 구축
- 현대차·기아, 배터리3사와 전기차 안전 강화 기술 고도화 ‘맞손’
- 포스코퓨처엠, 中 CNGR과 LFP 양극재 사업 추진
- LG엔솔 2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4,922억원 전년동기비 152% 증가
- 그린베이스·씨알주식회사, 전기버스 배터리 운영관리 시스템 고도화
- SK온, 북미 ESS 시장 정조준…엘앤에프와 LFP 양극재 공급 협약 체결
- LG엔솔, 美 미시간 공장서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시작
- 한전·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 146건 특허 中企에 무상 이전
- 솔루스첨단소재, 지난해 매출 5,710억원…전년비 33% 증가
- LG엔솔·KAIST 연구진, 리튬메탈전지 급속충전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