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생산 역량 강화, AI데이터센터 확산 등 적기 대응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 배터리의 대규모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양산 제품은 롱셀(Long Cell) 기반 ESS 전용 파우치형 LFP 배터리다. 해당 제품은 이미 테라젠(Terra-Gen), 델타(Delta) 등 주요 고객사에 공급이 확정된 바 있다.
LG엔솔은 “이번 대규모 양산으로 북미 지역 내 LG의 현지 생산 역량이 강화되고 현지 주요 고객사들에게 안정적인 제품 공급, 빠른 현장 지원 등이 가능해졌다”며 “특히 관세 영향을 받지 않아 경쟁사 대비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주요 배터리 업체 중 미국 내 ESS용 LFP 배터리의 대규모 양산 체제를 가동한 곳은 LG엔솔이 유일하다.
LG엔솔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세의 일시적 둔화와 관세 등 주요국의 정책적 변화 등 대외 경영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전략적 리밸런싱을 추진해오고 있다.
ESS용 LFP 배터리 역시 미국 애리조나 지역에 신규 공장을 건설해 2026년부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전기차(EV)용 배터리를 생산해 온 미시간 홀랜드 공장 내 공간을 ESS용 생산라인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설비를 최적화함으로써 처음 계획보다 시기를 앞당겨 양산을 시작했다.
LG엔솔은 전략적 현지 생산 체계를 기반으로 AI데이터센터, 친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 급증하는 ESS 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SNE리서치 등에 따르면 글로벌 LiB ESS 시장 전망은 2023년 기준 약 185GWh에서 2035년 약 1232GWh까지 6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LG엔솔 관계자는 “현재 북미 지역 다수의 고객들과 ESS용 배터리 공급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최고의 기술력과 빠른 현지 대응을 바탕으로 고객가치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한컴라이프케어, 김포공항에 EV 화재 대응 솔루션 공급
- BYD, 고관세 장벽에도 유럽서 판매량 350% 급증
- 韓 40개사 R&D 총 투자액 60조원…투자 증가율 G7·中 제쳤다
- 웨이모, 로보택시 생산량 2배 늘린다…내년까지 2천대 추가 운용
- 경제 질서의 지각 변동…“공급망·규제·기술 등 전방위 재정비해야”
- 신한금융, 500억원 규모 日 BESS 개발 사업 참여
- 슈나이더,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서 DC 전력기기 제품군 선봬
- LG엔솔, 델타일렉트로닉스와 美 주택용 ESS 시장 공략
- 한전·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 146건 특허 中企에 무상 이전
- 제주혁신센터·MYSC, 브이피피랩에 시리즈A 투자 단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