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이 국가 단위 의료AI 지원을 위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착수했다. 개발도상국에 단순히 제품 수출을 넘어 AI 기반의 암 검진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루닛은 최근 외교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발주한 ‘2025년 정부부처, 지자체, 공공협력사업 통합 공모’에서 페루 의료취약 계층을 위한 AI 암 조기진단 및 의료역량 강화사업이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정부가 발주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가운데 AI 기반 암 검진을 목적으로 한 첫 사례다. 루닛은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자로 선정됐다.
글로벌 데이터분석기관 원데이터(ONE DATA)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세계 ODA 총액은 2,272억달러(약 316조원)다. 이 중 의료분야 원조는 전체의 10% 수준인 241억달러(약 33조) 규모다.
양측은 내년 4월까지 8개월 간 페루 전국 공공의료 네트워크(Sistema Metropolitano de la Solidaridad, SISOL)과 함께 의료취약계층 및 의료체계에 대한 현지조사 작업에 착수한다.
루닛은 “이번 사업기획을 시작으로 향후 KOICA의 평가절차에 따라 200만달러(약 28억원) 규모의 파일럿 사업과 약 500만~1,000만달러(최대 140억원) 규모의 본사업에 착수할 가능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루닛은 AI기술을 토대로 의료취약 국가 환자들의 공공의료 질적 개선과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ODA 확장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6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와 한-아세안 보건복지 협력회의에 참석한 국가로부터 다수의 ODA 참여의향서를 확보한 이후 AI 암 검진을 위한 ODA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 방한을 계기로 게이츠재단과 만나 아프리카를 포함한 개발도상국에 의료AI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번 페루 ODA 사업자 선정은 저개발국가에 AI 기반의 암 조기 검진 체계를 구축하는 의미있는 출발점”이라며 “의료취약 계층이 AI를 통한 조기진단으로 건강한 삶을 이어가는 동시에 국가단위의 공공의료 역량이 강화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카오헬스케어, 노보노디스크제약과 헬스케어 생태계 구현 ‘맞손’
- 루닛, 이탈리아 지방보건국 11곳에 AI 암 진단 솔루션 공급
- 네이버, 헬스케어 기업 ‘제이앤피메디’에 투자…AI기술 협력 ‘맞손’
- 웨이센, 베트남 후에중앙병원과 MOU…‘웨이메드 엔도’ 확산 협력
- 딥노이드·의정부성모병원, 의료AI 연구성과 국제학술지에 게재
- 뷰노, 아주대의료원과 공동연구…의료AI 기술 상용화 기반 구축
- 딥노이드, 연세대와 의료영상·AI 분야 공동연구 협약
- 루닛, 한-아프리카 ‘ICT 리더십 포럼’서 AI의료 솔루션 시연
- NIA, 해외 5개국과 디지털 현안 해결 신규과제 발굴
- 한컴위드, 국내 의료AI 연합체 MAA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