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함께 연세대학교 인공지능(AI) 반도체 혁신연구소 개소식을 열고 반도체 설계, 신경망프로세스(NPU) 분야 등의 인재 양성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17일 연세대 신촌캠퍼스 제4공학관에서 열린 행사에는 연세대 윤동섭 총장, 시스템반도체공학과 임준서 교수 등 연세대 교직원 및 대학원생과 함께 과기정통부 류제명 제2차관, IITP 신준우 전략기획본부장, AI반도체 산업계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시장 수요와 기술 중요성이 급증하고 있는 AI반도체 분야에서 석·박사급 핵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혁신·창의적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대학ICT연구센터 사업에서 6개 대학을 AI반도체 센터로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또 AI반도체 설계와 소프트웨어(SW) 역량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AI반도체대학원 3개교를 2023년부터 선정·지원하며 AI반도체 고급인재 양성에 집중해 왔다.
특히 올해는 AI반도체 분야 국내 석·박사생의 글로벌 역량 제고를 위해 미국 일리노이대와 연계한 단기 파견 교육과정을 개설한 데 이어 AI반도체 기업·대학이 함께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갖추도록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는 AI반도체혁신연구소를 상반기 2개교 선정한 바 있다.
각 연구소에는 향후 연평균 20억원을 최장 6년간 지원해 매년 20명씩 총 110명 이상의 석·박사생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날 개소한 연세대 AI반도체 혁신연구소는 AI반도체 시스템 전반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도 제고와 아키텍처 설계 능력 배양에 특화된 교과목, 산업계 수요 기반의 연구프로젝트, 다학제 융합 교육·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류제명 제2차관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장이 열리지 않아 지배적 기업이 없는 NPU 관련 시장은 우리 기업과 연구자에게 기회의 땅이 될 수 있다”며 “우리나라 최고 대학과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발휘하는 기업들이 함께 역량을 모으는 AI반도체 혁신연구소가 핵심인재 양성의 산실로 자리매김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코아시아세미, 광주시와 지역 기반 AI반도체 생태계 확산 ‘맞손’
- 기초연구 사업 과제, 내년부터 유형별 조정제 도입
- 배경훈 장관,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 관련 현장 점검
- AI 3대 강국 도약 시동…8일 ‘국가AI전략위’ 공식 출범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악성 앱 차단 기술 국내 도입
- 과기정통부, 내년 예산안 23조7000억원…올해보다 12.9% 늘었다
- 세미파이브,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신청…IPO 절차 본격화
- 파네시아 “병렬 컴퓨팅 성능저하 문제, CXL IP·스택으로 잡는다”
- GTC 발표자 나선 젠슨 황 “딥시크 쇼크, 엔비디아에 긍정적”
- AI반도체·HBM, 생성AI 시대 핵심 성장 동력으로 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