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초소형 기지국 ID 2개 추가 확인, 피해예방 조치 확대
최근 KT 이용자를 대상으로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추가 피해 사실이 확인됐다.
KT는 18일 오후 브리핑을 열고 “소액결제 피해 관련 최초 침해 및 개인정보 유출 신고에 따른 11일 1차 발표 후 추가로 침해 정황을 확인하고 고객 보호 조치를 이행했다”며 “피해 고객 수는 당초 278명에서 362명으로, 누적 피해 금액은 2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 2개 외도 2개의 ID를 더 확인했고 총 2만명이 4개의 불법 초소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파악됐고, 해당 기지국 ID를 통해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와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휴대폰 번호가 유출된 정황도 확인했다고 KT는 설명했다.
KT는 “이달 5일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한 이후 새로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며 “추가 확인한 피해 모두 그 이전에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소액결제 과정에서 필요한 고객 성명과 생년월일이 KT를 통해 유출된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유심정보 중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은 만큼 복제폰 생성을 통한 피해 발생 가능성도 없다”고 부연했다.
KT는 이번에 추가로 확인한 피해 정황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이날(18일) 보완 신고를 마쳤다. 현재 해당 고객을 대상으로 신고 사실과 피해 사실 여부 조회 기능과 USIM 교체 신청 및 보호서비스 가입 링크 등에 대해 KT닷컴과 마이케이티 앱, 문자메시지(SMS)를 통해 개별 안내 중이다.
KT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악용한 피해 사례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초소형 기지국을 비롯한 네트워크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고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유형 차단과 유형별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고객 피해 예방 조치를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KT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전국 2천여개 매장을 ‘안전안심 전문매장’으로 전환해 고객이 안심하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계획이다.
피해 고객을 대상으로 향후 휴대폰 통신기기 사용과 연계하여 발생하는 금융 사기 피해를 보상하는 ‘KT 안전안심보험(가칭)’을 3년간 무료로 제공해 고객 보호를 한층 강화한다.
KT는 “고객들에게 큰 불편과 우려를 끼친 점에 대해 거듭 사과하며, 피해 고객에 대한 보호와 지원을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며 “고객 신뢰를 하기 위해 재발방지 대책과 제도 개선을 철저히 추진하며 고객 보호에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롯데카드 해킹사고 피해 일파만파…297만명 개인정보 털렸다
- KT도 유심정보 털렸다…김영섭 대표 “큰 불안·심려 끼쳐 죄송”
- “보이스피싱 탐지 정확도 높인다”…LGU+ ‘익시오’ 고도화
- KT 소액결제 피해 사고…시민단체 “이용자 대상 전수조사 필요”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 관련 ‘민관 합동 조사단’ 조사 착수
- 보이스피싱 피해액 금융사가 배상…‘무과실 배상책임’ 법제화 추진
- “마이데이터 전 분야로 확대, 개인정보·기업기밀 유출 우려”
- [데스크칼럼] ‘K-AI’ 국가대표로 선발된 SKT…보안 우려는 해소됐나
- 2년 만에 통신사 대규모 해킹 ‘충격’…SKT ‘고객정보’ 털렸다
- “트위치도 털렸다”…정보유출 사고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