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사이버위협에 실시간 대응
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 활용해 폭넓은 가시성 제공
데이터브릭스가 인공지능(AI) 기반 사이버위협에 보다 정밀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보안 솔루션인 ‘데이터 인텔리전스 포 사이버시큐리티’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솔루션은 기업이 이미 보유한 기존 보안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돼 모든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고 개방형 파트너 생태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됐다고 데이터브릭스는 설명했다.
데이터 인텔리전스 포 사이버시큐리티를 통해 보안팀은 AI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위협을 조기에 포착하고, 공격의 전후 맥락을 명확히 이해해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AI 애플리케이션과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브릭스의 ‘에이전트 브릭스’를 활용하면 데이터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보안 워크플로우 전반에서 안전한 거버넌스가 적용된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데이터브릭스는 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조직 전반에 대한 폭넓은 가시성과 풍부한 맥락을 제공하는 실시간 인텔리전스가 데이터 인텔리전스 포 사이버시큐리티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았다.
보안팀이 위협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정밀하게 다룰 수 있는 ‘실무에 적용가능한 AI에이전트’를 직접 구축·배포할 수 있고,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대화형 보안 인사이트로 비기술 직군 리더들도 즉각적인 보안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위협에 대응할 수 있다.
오마르 카와자 데이터브릭스 보안 담당 부사장은 “데이터브릭스는 데이터와 AI가 모든 조직의 가장 강력한 방어 전략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서비스 출시로 보안팀이 보다 정확하고 거버넌스가 보장된 유연한 방식으로 AI에이전트를 구축해 현대적인 AI 기반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파수, N2SF 시범 실증 참여…국가 AI 보안체계 확산 동력 확보
- F5, ‘칼립소AI’ 인수…AI 가드레일 보안 강화
- 체크포인트, AI네이티브 보안 플랫폼 ‘라케라’ 인수
- AI 확산, 보안 허점 키운다…IBM “거버넌스 미비는 공격 대상” 경고
- “AI시스템 자체가 표적”…AI로 자동화한 사이버공격 확대 ‘주의보’
- 디노티시아, 원스테크넷과 공공·민간 AI 보안 시장 ‘정조준’
- 보안 업무에서 AI기술 도입·활용은 늘었는데…신뢰도는 ‘글쎄’
- F5, 레드햇과 전략적 협업 확대…엔터프라이즈 AI 확장성 강화
- 팔로알토네트웍스, AI 보안 플랫폼 ‘프리즈마 에어즈’ 출시
- 보안위협 확산 중인데…보안 준비지수 ‘성숙’ 단계 국내 기업은 단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