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겸 의원실, 반복되는 민원·제도적 개선 시급
이동통신 서비스 해지 절차가 여전히 불편해 이용자들의 불편이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장겸 의원이 한국소비자보호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9월까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와 알뜰폰 업체 해지 절차 관련 불편 민원은 총 352건 접수됐다.
연도별로 보면 2022년 118건, 2023년 76건, 2024년 68건, 올해는 9월 말 기준 90건이었다. 특히 통신3사 모두 9월 기준 접수 건수는 이미 지난해 집계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가 파악한 해지 절차를 보면 모든 이동통신사업자는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한 ‘즉시 해지’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고객이 대리점을 방문해 본인확인을 거친 뒤 해지 안내를 듣고 신청서를 작성해야 한다. 온라인이나 유선 해지의 경우에도 상담 접수 이후 고객센터에서 본인확인을 비롯한 각종 상담 절차를 마쳐야 해지가 가능하다.
알뜰폰 사업자도 유사한 절차를 따르나 일부 업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선 등 특정 채널에서는 해지가 아예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전기통신사업법상 사업자는 해지 시 위약금 발생, 각종 혜택 소멸 등 중요사항을 반드시 고지해야 한다. 단순히 ‘즉시 해지’를 허용할 경우 착오에 의한 해지, 제삼자에 의한 해지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상담 과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도 개선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다. 국무조정실은 올해 하반기까지 개선 방안을 내놓겠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명확히 제시되지 않은 상태다.
김 의원은 “휴대전화 해지 절차는 소비자의 권리와 직결되는 문제임에도 해마다 불편 민원이 반복되고 있다”며 “통신3사뿐 아니라 알뜰폰 사업자까지 포함해 누구나 손쉽게 해지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도록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아이폰 RCS 메시지 쓴다…통신3사, ‘iOS 26’ 지원 시작
- KT 소액결제 피해 사고…시민단체 “이용자 대상 전수조사 필요”
- 정부·통신3사 AI 투자협력 선언식…3천억원 규모 자펀드 결성
- NIA, AI-RAN 얼라이언스 멤버 참여…‘AI 고속도로’ 실현 가속화
- SGI서울보증보험, 전산 시스템 장애로 주요 서비스 중단
- 지난해 ‘성 착취물’ 등 불법 촬영물 18만건 삭제·차단
- 불법 스팸 뿌리 뽑는다…정부, 문자사업자 등록요건 강화
- 개인정보위, SKT에 정보유출 피해자 개별통지 지시
- “K-콘텐츠 호감 높은 태국, 포트투칼은 AVOD 요금 전략이 주효”
- 과기정통부·방통위, 불법스팸 대응 민관 협의체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