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퇴직 영향, 무선 가입 회선 첫 3천만개 돌파
LG유플러스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익이 1,617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34.3% 감소했다고 5일 밝혔다. 매출은 4조108억원으로 동기간 5.5% 늘었고 당기순익은 491억원으로 63.6% 줄었다.
LG유플러스는 “영업익은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지급의 영향으로 지난해 3분기에 비해 34.3% 감소했다”며 “다만 희망퇴직에 소요된 1,500억원을 제외하면 3분기 영업익은 전년동기보다 26.7% 늘어난 3,117억원으로 상반기에 이어 개선된 흐름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3분기 무선 사업은 5G 핸드셋 가입 비중과 이동통신(MNO)·알뜰폰(MVNO) 가입 회선 증가에 힘입어 전년동기비 5.6% 늘어난 1조7114억원을 기록했다. 접속수익을 제외한 모바일 서비스수익은 1조6272억원으로 동기간 5.2% 증가했다.
전체 무선 가입 회선은 전년 3분기보다 8.6% 늘어난 3,025만9000여개로 첫 3천만개를 돌파했다. MNO 가입 회선은 동기간 5.4% 증가한 2,120만여개, MVNO 가입 회선은 16.8% 증가한 905만여개다.
인터넷과 IPTV 사업으로 구성된 스마트홈 부문 매출은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로 전년동기보다 3.5% 늘어난 6,734억원을 기록했다.
인터넷 매출은 3,113억원으로 동기간 8.4% 성장했으며 가입자도 4.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IPTV 사업은 가입자가 전년동기비 3.3% 늘었으나 전체 매출은 0.4% 줄어든 3,342억원으로 집계됐다.
AI데이터센터(AI DC), 솔루션, 기업 회선 등 사업이 포함된 기업 인프라 부문 매출은 AI DC 사업의 성장에 힘입어 1.8% 증가한 4,279억원을 기록했다.
AIDC 매출은 평촌 2센터 신규 고객사 입주에 따른 가동률 상승과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DBO) 사업 진출 등 영향으로 전년동기보다 14.5%, 전분기보다 7.1% 증가한 1,031억원을 기록했다.
마케팅비용은 가입자 증가에 따라 동기간 5.2% 늘어난 5,852억원을 기록했다. 서비스 수익대비 마케팅비용 비중은 지난해 3분기와 유사한 20.1%며 설비투자(CAPEX)는 4,381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2.2% 감소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최고리스크책임자(CFO/CRO)는 “이번 분기에는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지급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부문의 성장세에 힘입어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며 “AI서비스 차별화를 통한 본원적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수익성 제고와 주주환원 강화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를 지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네이버 3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5,706억원 전년동기비 8.6% 증가
- 정부, 기업 CISO 대상 간담회서 “사이버보안 총력 대응” 주문
- LG엔솔 3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6.013억원…전년동기비 34.1% 증가
- 삼성 3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12조1661억원…전년동기비 32.5% 증가
- LGU+ 홍범식 대표, AWS 맷 가먼 CEO와 경주 APEC서 회동
- LGU+ 익시젠 관련 논문, 자연어처리 학회 ‘EMNLP 2025’서 채택
- 이동통신 서비스 해지 절차 여전히 불편…최근 4년 간 민원 352건
- 아이폰 RCS 메시지 쓴다…통신3사, ‘iOS 26’ 지원 시작
- 카카오 3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2,080억원 전년동기비 59.4% 증가
- SK 최태원 “운영개선 통해 AI경쟁에서 주도권 잡을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