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연구원 보고서, 공급과잉·출혈경쟁 장기화 가능성 전망
중국 자동차 산업의 공급과잉과 출혈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이 상황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0일 한국자동차연구원 보고서(중국 자동차 산업의 역설, 내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완성차 생산능력은 연간 5,507만대로 내수 판매량(2,690만대)의 2배에 달했다.
내권(內卷)은 ‘안으로 말려 들어간다’는 뜻으로 소모적인 출혈경쟁이 지속되고 산업 전반의 질적 향상은 이뤄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정 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한 중국 자동차산업 평균 가동률은 지난해 기준 72.2%로 집계됐으나, 조사 대상을 전체 등록 제조사로 확대하면 실질 가동률은 50% 내외로 추정됐다. 일반적으로 75% 이하면 과잉설비로 간주한다.
이같은 공급 과잉은 중국 완성차업체들의 가격 인하 경쟁과 수익률 저하로 이어졌다. 비야디(BYD)를 비롯한 주요 전기차(EV) 제조사의 평균 차량 판매가격은 2021년 3만1000달러에서 2024년 2만4000달러로 하락했고 완성차 업계 수익률도 2017년 8.0%에서 2024년 4.3%로 크게 줄었다.
중국 EV 제조사 130곳 가운데 지난해 흑자를 기록한 업체는 BYD, 테슬라차이나, 리오토, 지리사 등 4개사에 그쳤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스는 약 15개 기업만이 2030년까지 재무적으로 생존 가능하다는 전망을 발표한 바 있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가 EV를 전략산업 목록에서 제외하는 등 산업 재편에 나섰으나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과거와 달리 중국의 자동차산업 반 내권 정책은 시장 메커니즘의 원활한 작동에 방점을 두고 있다”며 “세분화한 시장 상황, 첨단 산업으로서의 상징성을 고려하면 향후 정부의 직접 개입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지방정부와 자동차산업 간 이해관계로 산업 구조조정이 난망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지역 경제 악영향을 우려하는 지방정부가 저리 대출, 세제 감면 등 지원에 나선다면 부실기업 퇴출이 늦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 기아, 英모타빌리티와 PBV 보급 확대 ‘맞손’
- LG화학, 中시노펙과 소듐이온전지 소재 공동 개발
- 삼성SDI, BMW·솔리드파워와 전고체 배터리 실증 ‘맞손’
- 현대차,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 기공식…연간 3만기 생산 능력
- LG엔솔 3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6.013억원…전년동기비 34.1% 증가
- 전장 디스플레이 출하량 5% 증가…클러스터 두 자릿수 성장세
- 中 완성차 시장, ‘전동화’ 넘어 ‘자율주행·SDV’ 경쟁으로 전환
-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 교류회 제주서 열린다
- 中 BYD, “브랜드 이미지 부재…글로벌 성장에 한계 직면”
- “전기차(EV) E/E 아키텍처 48V 전환 시 차량 경량화 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