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2024년 신규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위해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소도시 조성사업 설명회’를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개최한다.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수소 에너지원이 공동주택·건축물·교통시설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수소생산시설·이송시설, 활용시설 등의 도시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등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 연료전지를 포함한 수소관련 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9년 세계 최초로 수소시범도시 3곳을 선정한 바 있으며, 올해 수소시범도시가 순차적으로 준공되면서 본격적인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4년 신규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2019년 선정한 수소시범도시와 달리 지자체에서 사업신청을 하면 중앙부처의 검토를 거쳐 정부안이 확정되는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시·도자율편성사업으로,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일정에 따라 진행된다.

각 지자체에서 사업계획을 수립해 예산신청을 하면 국토교통부의 사업 적정성 등 검토를 거쳐 기획재정부에서 예산심의 후 정부안 반영여부가 결정되며 국회 심의를 거쳐 연말에 확정된다.

2019년 선정한 수소시범도시를 포함해 2024년 신규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위해 총 400억원을 투자한다. 올해부터는 6개의 지자체에서 신규 수소도시 사업을 착수하며,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조성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수소도시의 개념, 수소도시 인프라 구축사업 내역, 지원규모 및 기간, 향후 사업추진 일정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주거 분야는 공동주택 등에 수소 에너지 보급을 위한 도시기반시설을 설치하고 교통 분야는 수소차, 수소버스 등 수소 모빌리티를 지원하기 위한 도시인프라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올해 추진하는 수소도시 사업은 바이오매스 기반 그린수소 생산시설과 연계한 도시기반시설 설치 등 지역의 여건을 기반으로 참신한 아이디어들과 접목했으며 지자체별 여건에 따라 수소도시 인프라 중에서 필요에 따라 소규모 사업으로도 추진할 수 있도록 사업 유형을 다양화했다.

국토교통부 김기훈 도시활력지원과장은 “수소도시 조성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뿐 아니라 새로운 지역성장 동력으로 활용해 지역 수소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등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각 지자체에서 적극적인 관심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