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의사결정 체계 고도화, 전략적 플랫폼 자체 개발
삼정KPMG가 인수합병(M&A) 자문 업무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플랫폼 ‘딜마인드(DealMind)’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DealMind는 고객사의 산업 전략과 성장 계획, 투자 의향 등 다양한 M&A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수·매각 기회를 빠르게 도출하도록 설계된 플랫폼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오픈AI(Microsoft Azure OpenAI)의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적용한 점이 특징이다.
핵심 기능은 고객 M&A 니즈의 실시간 데이터화다. 담당자별로 분산돼 있던 수요 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축적하고 특정 산업에서 매각 멘데이트(Mandate)가 발생하면 과거 니즈를 즉시 확인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재무자문부문 전체가 공유해 잠재 후보군을 보다 정확하게 발굴하는 데 활용된다.
‘Target Long List’ 자동 생성 기능도 강화됐다. 이메일이나 개별 파일에 흩어져 있던 타겟 정보를 AI가 일괄 정리해 산업·규모·조건별 데이터베이스(DB)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검색 기능을 통해 원하는 기업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상세 페이지에서는 기업 외형, 사업 특성, 투자 포인트와 함께 생성한 AI코멘트도 확인할 수 있다.
이 플랫폼에는 AI챗 기능도 포함됐다. 자연어 기반 질의응답, 문서 분석, 자료 비교, 시장 정보 탐색 등 M&A 실무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며 파일 업로드와 웹·DB 검색 기능을 통해 정교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삼정KPMG는 “지난 9월 DealMind 내부 론칭 후 재무자문 실무에서 현재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AI 기반 M&A 업무 혁신 로드맵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향후 산업별 투자 포인트 자동 분석, 거래 유사도 추천, 주요 재무정보 자동 추출 등 고객의 의사결정에 직결되는 기능을 순차 적용해 플랫폼 완성도를 높여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2년 연속 20만명 찾은 ‘지스타’로 본 게임 산업 키워드
- “韓·美, 美·中 무역협상 타결…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
-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예측형 헬스케어’ 시장이 뜬다
- 글로벌 CEO 10명 중 7명…“향후 3년 성장 열쇠는 AI”
- 3분기 글로벌 VC 투자 1,207억 달러…AI·인프라 투자 집중
- 리플, TMS 공급 기업 ‘지트레저리’ 인수…기업 자금관리 시장 진출
- 상반기 핀테크 투자액 급감…하반기 키워드는 ‘디지털자산’·‘에이전틱AI’
- 스스로 문제 인식·해결하는 AI에이전트, 연평균 44.8% 성장세 전망
- 벤처투자 촉진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M&A 활성화 조항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