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퀄컴테크날러지가 21일 소형 마이크로 기지국과 다중입출력장치(Massive MIMO)를 적용한 매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시나리오에 맞춰 설계된 5G 인프라 제품 포트폴리오를 발표했다.
5G가 주도하는 상호운용이 가능한 가상무선접속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s, RAN)으로 무선 생태계 전환을 촉진한다는 전략이다.
퀄컴은 원격무선 플랫폼(RU), 분산장치 플랫폼(DU), 분산 원격무선분산장치 플랫폼(DU/RU) 등 3개 신규 5G RAN 제품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차세대 가상무선접속네트워크(vRAN), 융합형, 개방형 네트워크 구축 시 통신사를 지원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솔루션이라는 게 사측 주장이다.
퀄컴은 5G RAN 플랫폼 포트폴리오를 통해 기존 및 신규 네트워크 벤더는 vRAN 장비와 주요 기능의 개발 및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공·민간 네트워크를 위한 개방성과 상호 운용성을 갖춘 가상화된 무선인프라 시장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사의 기존 스몰셀용 5G RAN 플랫폼 제품과 함께 신규 5G 인프라 플랫폼을 통해 매크로 및 마이크 인프라 구현을 지원하고 확장성과 고도로 유연한 아키텍처 제공을 통해 5G 분산 장치(DU)와 원격신호처리장치(RU)의 기능 분할 옵션 구현을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사장은 “5G 전문성과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수평적 인프라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성능, 가상화, 개방형 및 모듈식 5G 네트워크을 구현가능하게 하고 무선 인프라의 혁신을 촉진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퀄컴은 이러한 개방형, 상호운용이 가능한 5G 인프라로의 전환 가속화하기 위해 모바일통신사, 네트워크 벤더, 표준 기구 및 그외 기타 관련 업계 주요기업과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화웨이, 맞춤형 스마트 솔루션 레퍼런스 모델 ‘인텔리전트 트윈스’ 공개
- 온디바이스AI·게이밍 성능에 최적화…퀄컴, 스냅드래곤750 5G 발표
- 퀄컴, AI추론 가속기 ‘클라우드 AI100’ 출하…내년 상반기 양산
- NIA, 네트워크슬라이싱 기반 5G 테스트베드 구축
- 5G 오픈-랜(O-RAN) 텔코용 가속카드 T1 공개한 자일링스, 이유는?
- SKT, 5G 코어망 가상화 기술 상용화…삼성·인텔·HPE와 초협력 체계 구축
- 인텔·VM웨어, 무선접속망(RAN)용 통합 SW플랫폼 개발 ‘맞손’
- 주니퍼 미스트, 4세대 AI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확장 발표
- “5G 넘어 6G로, 선행 기술개발로 시장 선점”…삼성, 6G 백서 공개
- ADI·NEC, 라쿠텐 모바일 5G 매시브MIMO RU 설계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