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 가상화 표준 프로세스 수립, SW로 네트워크 구조 혁신
[IT비즈뉴스 한지선 기자] SK텔레콤이은 삼성전자, 휴렛패커드엔터프라이즈(HPE), 인텔과 5G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상용화를 위한 협력에 나선다.
이들 기업은 10일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본사에서 이같은 내용에 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지국, 전송망 코어망(교환망) 등 3대 영역 중 5G 핵심 네트워크인 코어망 전체를 가상화하는 역량을 확보할 수 있어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을 위한 기틀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5G 네트워크 가상화는 통신사가 신규 통신 서비스를 위해 개별 하드웨어(HW)를 각각 설치하는 대신 범용 서버에 여러 통신 장비 기능을 소프트웨어(SW)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술을 도입하면 통신사의 차세대 5G 서비스 도입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기존에는 신규 서비스를 출시할 때마다 각각의 HW 장비를 새로 구축하거나 업그레이드했지만, 기술 도입 후에는 표준 프로세스를 통해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4개 기업은 각 사가 보유한 가상화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서버 장비 등을 상호 연동해 차세대 5G 네트워크 가상화 플랫폼의 글로벌 상용화를 목표로 표준 프로세스를 수립할 계획이다.
인텔은 차세대 제온(Xeon) 프로세서, 이더넷 네트워크 어댑터, SSD 등 신규 기술을 공유하고 HPE는 가상화 서버인 프로라이언트(ProLiant)를 삼성전자에 제공한다. SK텔레콤은 삼성전자의 5G 가상화 SW를 5G 코어망 등 핵심 네트워크에 검증단계를 거쳐 상용망에 연동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상품전략팀장 노원일 전무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 경험과 각 분야를 대표하는 4자간 협력체를 통해 최신의 HW와 가상화 SW를 상용망에 조기에 적용하고 혁신적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인텔 댄 로드리게즈 네트워크 플랫폼그룹 총괄부사장은 “인텔의 차세대 제온 플랫폼 및 고성능 패킷 프로세싱 기술이 5G 범용 서버 조건을 만족시켜 혁신적인 5G 서비스를 시장에 더욱 빠르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HPE 클라우스 페더슨 부사장은 ”혁신적인 5G 서비스를 위해 각각 다른 공급사의 기술과 솔루션을 상호 운용하게 하는 개방형 구조가 핵심”이라며 “SK텔레콤의 5G 인프라를 보다 빠르고 유연하게, 안정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설명했다.
SKT 강종렬 ICT Infra 센터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차세대 5G 네트워크 가상화에 대한 상용화 기반을 충분히 마련했고, 향후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 “ARM은 왜? 64비트 R코어 반도체 설계자산(IP)을 발표했나”
- VM웨어, 통신사업자(CSP)용 5G 솔루션 ‘텔코 클라우드 플랫폼’ 발표
- 확산되고 있는 클라우드 환경과 인공지능(AI) 개발 플랫폼의 부상
- 인텔·VM웨어, 무선접속망(RAN)용 통합 SW플랫폼 개발 ‘맞손’
- KT, 국산 클라우드OS 연합체 결성…하반기 DaaS 솔루션 공급 개시
- AMD·구글클라우드, 2세대 에픽 프로세서 기반 ‘컨피덴셜VM’ 베타버전 출시
- “5G 넘어 6G로, 선행 기술개발로 시장 선점”…삼성, 6G 백서 공개
- “실내서 5G 안터지는 이유 있었네”…실내 기지국 0개 시·도 다수
- 퀄컴,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 5G RAN 플랫폼 3종 공개
- SKT·삼성, 릴리즈16 국제표준 적용 ‘클라우드 코어망’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