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 AI 판독기술 개발-적용 사례 공개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 15일 기후변화로 인한 지리산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고사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고해상도 항공영상 기반 인공지능(AI) 판독기술을 개발해 활용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공단은 구상나무 등 상록침엽수의 고사현황을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AI개발사인 다비오, 항공영상측정기업인 삼아항업과 공동으로 고해상도 항공영상 기반 딥러닝(DL) 기술을 개발했다.
이 판독 기술은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연구에 도입돼 지난해 11월19일부터 이틀간 약 41㎢ 면적을 대상으로 고사목 5만4781그루를 자동으로 파악했다.
국립공원공단 연구진은 기술 적용에 앞서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목 약 4천그루의 질감과 형태, 색감 등을 AI프로그램으로 학습시켰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시킨 정보량의 13배에 달하는 고사목 데이터를 새로 얻었다.
이번에 활용한 기술과 전문가가 육안으로 판독한 능력을 비교한 결과 선 채로 고사한 수목은 약 89.1%, 쓰러져 고사한 수목은 약 56.5%를 각각 찾아내는 등 평균 72.9%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아울러 급경사지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험지역에 대한 고사목 자료를 수집할 수 있고, 그간 수개월이 소요된 조사 기간을 단 몇 시간으로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향후 기술을 고도화해 설악산, 덕유산 등 백두대간 아고산대 생태계에 확대-적용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고사를 예측해 보전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생태조사와 원인규명 사업을 지속 수행하고 향후 보전방안 등 중장기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최승운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이번 기술개발을 시작으로 기후변화 연구뿐만 아니라 생태자원, 산림 병해충 피해, 산사태 발생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AI개발자들, 주목!”…복수의 GPU를 활용한 분산 훈련 최적화 방법론
- 유니티, AI/ML 적용한 로보틱스 학습 툴 데모 공개
- 美 국가안보위, “중국 반도체 개발 막을 조치 필요”…의회에 권고
- MS, 5대 특화 산업군 최적화된 클라우드 플랫폼 공개
- 향후 5년간 수요증가 예상되는 디지털 기술은 ‘AI/ML’
- ETRI, 코로나 영향에도 표준화 성과…지난해 국제표준특허 72건 확보
- KAIST 정기훈 교수팀, 초고해상도 초박형 4D카메라 개발
- 스켈터랩스, 내년 1분기 목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개발
- ”일반인도 쉽게 딥페이크 탐지 가능…모바일 앱(App) 나왔다“
- 기후변화센터, 법무법인 광장과 ‘2050 탄소중립’ 협력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