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 AI 판독기술 개발-적용 사례 공개

AI 기반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목 검출시스템 화면 [사진=국립공원공단]
AI 기반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목 검출시스템 화면 [사진=국립공원공단]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 15일 기후변화로 인한 지리산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고사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고해상도 항공영상 기반 인공지능(AI) 판독기술을 개발해 활용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공단은 구상나무 등 상록침엽수의 고사현황을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AI개발사인 다비오, 항공영상측정기업인 삼아항업과 공동으로 고해상도 항공영상 기반 딥러닝(DL) 기술을 개발했다.

이 판독 기술은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연구에 도입돼 지난해 11월19일부터 이틀간 약 41㎢ 면적을 대상으로 고사목 5만4781그루를 자동으로 파악했다.

국립공원공단 연구진은 기술 적용에 앞서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목 약 4천그루의 질감과 형태, 색감 등을 AI프로그램으로 학습시켰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시킨 정보량의 13배에 달하는 고사목 데이터를 새로 얻었다.

이번에 활용한 기술과 전문가가 육안으로 판독한 능력을 비교한 결과 선 채로 고사한 수목은 약 89.1%, 쓰러져 고사한 수목은 약 56.5%를 각각 찾아내는 등 평균 72.9%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아울러 급경사지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험지역에 대한 고사목 자료를 수집할 수 있고, 그간 수개월이 소요된 조사 기간을 단 몇 시간으로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향후 기술을 고도화해 설악산, 덕유산 등 백두대간 아고산대 생태계에 확대-적용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고사를 예측해 보전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생태조사와 원인규명 사업을 지속 수행하고 향후 보전방안 등 중장기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최승운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이번 기술개발을 시작으로 기후변화 연구뿐만 아니라 생태자원, 산림 병해충 피해, 산사태 발생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