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부족사태 장기 전망서 발언, 반독점이슈·생태계교란 외 또 다른 변수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엔비디아가 반도체 설계자산(IP) 기업인 ARM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난관에 봉착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CNBC방송 등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올리버 다우든 영국 디지털·문화·미디어·체육부 장관은 19일(현지시간) 엔비디아의 ARM 인수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를 지시했다.
다우든 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영국 기술 산업의 번영을 지원하고 외국의 투자를 환영하고자 하나 이번 거래의 경우 국가안보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장관 지시에 따라 영국 반독점 당국인 경쟁시장청(CMA)은 엔비디아-ARM 인수합병과 관련된 국가안보 영향을 평가해 7월30일까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CMA는 이번 인수의 반독점 위반 여부도 조사 중이다.
보고서가 제출되면 다우든 장관은 이를 검토하고 인수를 무조건 또는 조건부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추가 조사를 지시할 가능성도 있다.
WSJ은 영국기업인 ARM이 미국기업인 엔비디아에 넘어가면 불공정한 이득을 넘겨주는 결과가 되면, 이를 반도체 업계에선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영국 케임브리지에 본사를 ARM은 전세계 시스템반도체 회사를 대상으로 반도체 설계기술(IP)을 공급하고 있다.
애플, 퀄컴, 삼성전자, 화웨이 등이 ARM의 IP를 활용해 반도체를 설계해왔다. 전세계 스마트폰의 90% 이상에 ARM의 기술이 탑재된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가 탑재됐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9월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ARM을 400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당시 소프트뱅크의 최초 인수가격은 320억달러였다. GPU를 설계하는 엔비디아가 CPU 코어IP를 보유한 ARM의 인수를 추진한 점, 반도체 인수합병(M&A) 역사상 최대규모의 딜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졌다.
허나 각 국가별 반독점 규제와 관련된 승인을 앞두고 있는 점과 지난 2월에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퀄컴 등 글로벌 기업들도 인수 반대의견을 내고 있어 난관에 봉착한 상태다.
각국 정부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휘두를 것으로 판단되면 인수합병에 대한 반대의견이 나올 수도 있다. 실제로 5년 전 퀄컴이 네덜란드 반도체기업인 NXP반도체를 440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했으나 중국정부의 승인을 받지 못해 무산된 바 있다.
기술 생태계가 특정 기업 한쪽으로 쏠리면서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란 우려로 반대 입장을 표명하는 기업도 나왔다.
지난 2월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익명을 요구한 이들(구글/MS/퀄컴) 기업의 관계자를 인용, “양사(엔비디아-ARM) 400억달러 규모의 거래에 반대하며 당국(미국)이 독점규제 승인에 개입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관련기사
- IPU 설계자산(IP)기업 그래프코어, 슈퍼마이크로 울트라 서버 인증 발표
- CEVA, 산업용 자율이동로봇(AMR) 내비게이션 SW엔진 공개
- 인텔, 美 애리조나에 팹 2기 건설…“파운드리 비즈니스 사업부 신설”
- “국내 팹리스 키운다”…정부, 반도체 설계자산(IP) 지원 프로그램 도입
- “구글·MS·퀄컴도 반대”…엔비디아-ARM 인수합병 난항
- 엑시노스2100 공개한 삼성, “퀄컴에 밀린 전작 자존심, 회복할까?”
- 서버용 자체 실리콘(Chip) 개발 나서는 MS, 脫 인텔 가속화
- “ARM Cortex-A 코어, 2022년 이후 64비트만 지원한다”
- ARM 인수 추진하는 엔비디아, “4년 전 NXP-퀄컴 사례 따르나…”
- 엔비디아, 볼보와 파트너십 확장…완성차 라인에 오린 SoC 도입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