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증명 서비스 ‘이니셜’ 적용된 위험구조물 진단서비스
[IT비즈뉴스 오현식 기자] SK텔레콤의 블록체인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인 ‘이니셜’ 기술을 IoT에 적용해 건축물의 고유식별자를 확인하고 위험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7일 밝혔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과 IoT 기술을 융합한 분산신원확인(Decentralized Identifier, DID)의 국내 첫 서비스 사례로 주목된다.
DID는 온라인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신원증명을 관리하는 전자 신분증 시스템을 일컫는 용어다.
이 기술은 그간 개인의 신원증명에만 이용됐으나 SK텔레콤은 DID를 사물의 식별자 확인으로 확대해 건축물 정보를 확인하고 위험도 모니터링을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SK텔레콤의 이니셜은 시티랩스, 씽크제너레이터, 지노시스, 방재시험연구원으로 구성된 ‘시티랩스 컨소시엄’의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사업에서 건축물의 DID 구현과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노후건축물의 기울기 및 크랙 모니터링을 담당한다.
기존 노후건축물의 안전진단 수행 시에는 불특정 안전진단업체가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고 보고서를 작성해 데이터 분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 데다 데이터의 신뢰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허나 이니셜 DID 기술을 적용하면, 사물 DID를 부여해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시 위변조 위험성이 없고, 진본 데이터 확인이 용이한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오세현 SKT 인증CO(컴퍼니)장은 “노후건축물 안전진단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은 국민의 안전한 삶에 기여하는 ESG경영의 좋은 사례”라며 “앞으로도 이니셜의 DID 기술을 다양한 산업군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니셜은 현재 행정안전부 전자문서지갑을 통해 전자증명서 30종을 발급하고, 100종의 공공증명서를 보관하는 등 정부 기관과의 제휴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대학 제증명 발급·제출 및 고려대 모바일학생증 발급, SK텔레콤의 고객센터 서류 제출 등 다양한 제휴처로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블록체인 기술·연구개발에 1133억 투입
- 전용회선으로 80% 비용 절감…SKT, ‘클라우드 허브’ 서비스 론칭
- 중기부, 중소기업 스마트서비스 11개 과제 지원…접수 시작
- SKT 주도 ‘SKB컨소시엄’, 다수 양자암호통신 시범구축 과제 수주
- 티맥스소프트, HN과 ICT 융합 비즈니스 모델 개발 ‘맞손’
- “개발자와 ICT역량 공유”…SKT, 개발자 커뮤니티 ‘데보션’ 오픈
- 한컴그룹, 아로나와토큰 운영 위한 신규법인 설립
- NIPA, 블록체인 기술검증(PoC) 지원사업 본격화
- 삼성SDS, 블록체인 기반 ‘페이퍼리스’ 서비스 론칭…BaaS 사업 가속화
- CJ올리브네트웍스, NFT시장 진출…람다256과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