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 ‘2021 데이터 보호 인덱스 보고서’ 발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델테크놀로지스가 전세계 기업·기관들의 데이터 보호현황과 전략을 조사한 ‘글로벌 데이터보호인덱스(GDPI)’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세계 1,000여명의 IT 의사결정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는 대다수의 조직들이 지속적인 랜섬웨어 공격 등 보안위협 증가와 데이터 폭증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17일 보고서에 따르면, 조직에서 다루는 데이터 규모는 평균 14.6PB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5년 전(2016년 평균 1.4PB)과 비교해 약 10배 가량 증가한 수치다.

우리나라의 조직들이 다루는 데이터는 평균 9.57PB로 나타났으며, 아태지역의 평균은 10.11PB로 조사됐다. 

전세계 기업의 데이터 보호 현황 [이미지=델테크놀로지스]
전세계 기업의 데이터 보호 현황 [이미지=델테크놀로지스]

상당수의 기업과 기관들이 지속적인 데이터 증가와 데이터 보호환경의 복잡성을 해결하는데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이터는 기존 데이터 보호 솔루션의 한계를 시험하고 있다.

실제로 전세계 기업의 45%, 국내 기업의 58%는 지난해 계획되지 않은 시스템 다운타임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으며, 전세계 31%, 국내 46%의 기업은 데이터 유실까지 겪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실 데이터로 인해 평균 31만1250달러의 비용손실이 발생했다.

또 과반이 넘는 기업(전세계 59%, 국내 64%) 기업들이 재해복구(DR)를 위해 퍼블릭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많은 기업(전세계 64%, 국내 87%)들은 퍼블릭클라우드 환경에서 전체 데이터가 확실히 보호되고 있는지를 확신하지 못했다.

급증하고 있는 고도화된 사이버위협도 데이터 관리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전세계 62%, 국내 82%의 기업은 기존 데이터 보호 대책으로 최근의 멀웨어나 랜섬웨어 위협에 대처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업(전세계 67%, 국내 82%)은 랜섬웨어와 같은 파괴적인 사이버공격을 입었을 때 중요 비즈니스 데이터 복구에 대한 확신을 갖고 있지 못했다.

전세계 기업의 운영 중단 우려와 데이터 유실로 인한 손실비용 [자료=델테크놀로지스]
전세계 기업의 운영 중단 우려와 데이터 유실로 인한 손실비용 [자료=델테크놀로지스]

또 국내 기업과 전세계 기업의 74%는 재택근무 환경을 겨냥한 사이버위협으로 데이터 유실위험이 한층 높아졌다고 답했다. 

전세계 63%, 국내 58%의 기업은 클라우드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쿠버네티스와 같은 컨테이너, 인공지능(AI/ML)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확대로 인해 사이버위협이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김경진 한국델테크놀로지스 대표는 “랜섬웨어가 진화하는 속도 이상으로 데이터 보호 환경을 빠르게 혁신해야 하는 상황이다”이라며 “비즈니스 운영이 중단되는 일 없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총체적인 데이터 보호 접근 방식을 통해 강력한 복원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