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파트너십 체결, 연말 클라우드 서비스 론칭
KT가 국내 AI 인프라 솔루션 기업 모레와 AI 인프라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역량 강화에 나선다.
모레는 AI를 구현하고 실행하기 위한 AI컴파일러·라이브러리 및 대규모 AI 클러스터 운영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글로벌 수준의 대규모 클러스터 자동화·최적화 기술 역량을 보유했다.
대부분의 AI 인프라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기업과 개발자에게 제공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AI 연구·서비스를 위한 하이퍼스케일 컴퓨팅 인프라를 직접 갖추는 것보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빌려 쓰는 것이 유리해 AI 인프라 역량 강화는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요소다.
KT는 모레와 협력해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KT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GPU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고 GPU 클러스터 성능을 검증 중이다.
대규모 GPU 클러스터링이 주요한 특징이며 동일 사양의 서비스 대비 합리적인 비용에 제공할 계획이라고 KT는 설명이다. 서비스는 KT 클라우드 DX 플랫폼에서 구현된다. 양사는 효율적인 AI GPU 자원 운영을 위한 통합자원 관리 플랫폼도 개발할 예정이다.
KT는 양사의 협력이 외산 솔루션에 의존하고 있는 AI 인프라 업계에 국산 기술력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협력의 결과물은 AI 분야 화두인 초대형 AI모델을 위한 하이퍼스케일 AI 클러스터 인프라로 확장이 가능한 점도 특징으로 내세웠다.
양사는 소프트웨어(SW) 협력을 시작으로 국산 하드웨어(HW)를 결합한 서비스까지 중장기적 파트너십을 모색할 계획이다.
KT Cloud/DX사업본부장 이미희 상무는 “모레가 가진 AI SW 역량과 KT의 클라우드 기술·노하우를 기반으로 파급력 있는 시너지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에이프리카, 서울바이오허브에 인공지능(AI) 개발 인프라 구축
- 글로벌 클라우드 빅3, 클라우드 현안 해결위해 뭉쳤다
- AMD, “2025년까지 전력 효율성 30배 향상” 목표 제시
- “하이브리드 전환은 계속된다”…국내기업 48%, 클라우드 이전 우선
- 실리콘아츠, 리스크-V(RISC-V) 기반 GPGPU 설계자산(IP) ‘레이브’ 공개
- ‘영상의료 장비에 DL모델 적용’…기계연, 초음파영상 진단 정확도 개선
- 가속카드·스마트NIC…“자일링스가 내세운 데이터센터 시장 전략은?”
- KT, 디즈니+와 모바일 제휴…5G 무제한 요금제 출시
- “지난해 매출 3백억 이상 기록한 국내 SW기업은 326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