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대한산업안전협회, 센코와 디지털트윈(DW) 기반의 통합 환경·안전·보건 플랫폼 공동사업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중소기업·개인사업자의 비용부담을 최소화해 이용할 수 있도록 구독형으로 서비스로 제공하며 내년 하반기께 공식 론칭할 계획이다.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는 인력과 자금력의 한계로 규제에 대한 부담감과 규제 내용·이행 방법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내년 1월말부터는 50인 이상 사업장 약 5만여개가 우선 규제대상으로 편입되고 2024년 1월부터는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 약 66만여개가 추가로 적용대상이 된다.
통합안전플랫폼은 중소기업·개인사업자가 중대재해처벌법의 안전·보건 확보의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관련 분야의 법정 의무교육, 안전진단, 안전점검의 표준메뉴얼과 작업수칙 등을 디지털-클라우드 기반의 자동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며 오프라인 업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동화, 데이터베이스(DB)화 기능을 특징으로 내세웠다.
사업장의 공정, 설비, 안전 등 각종 데이터를 수집해 3D시각화하고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대응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돕는다.
각 사업장을 DW로 전환해 작업자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사고발생 감지 시 미리 정해져 있는 자동 표준운영절차(SOP)에 따라 사내에 즉시 사고전파를 하고 긴급신고 기능도 지원한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김창도 대한산업안전협회 사업총괄이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첨단 재해예방시스템의 개발 및 보급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하승철 센코 대표는 “국내 유일의 전기화확식 가스센서 기술과 3D모델링 등 DW기술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조원석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전무)는 “5G, DW 등 발전하는 ICT를 활용해 사람이 인지하기 어려운 위험한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안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노조미네트웍스, 한국 OT·IoT 보안시장 진출 본격화
- 슈나이더, SCADA 개발·런타임 SW ‘블루 오픈 스튜디오’ 업데이트
- 전경련, “中企 보호 위한 3대 진입규제, 신산업 경쟁력에 부정적”
- “손톱보다 작다…”LGU+, 세계 최초 PUF 적용한 eSIM 개발
- 전세계가 주목하는 수소경제…“밸류체인 전 주기 아우르는 수직통합 필요”
- KT, KIST와 AI로봇 플랫폼 기술 고도화…방역·산업안전 로봇 공동개발
- 지난해 신설·강화된 규제 1500여건, 전년비 55% 증가
- LGU+, LS그룹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에 ‘U+ SD WAN’ 적용
- KT·해병대, 5G 기반 스마트 부대 구축 사업협력 MOU
- LGU+, 국내 최초 클라우드 백본 장비 실증…유연성·안정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