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ML) 기반 원격관리 ‘스마트 양계장’ 구현
LG유플러스가 국립축산원 가금연구소, 전북대학교와 함께 육계·산란계의 정밀모니터링과 지능형사양관리 기술을 실증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내 양계농가는 가구당 육계 5.6만수, 산란계 7.8만수를 사육하고 있으나 농가인구 고령화와 인력부족으로 생산성 제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같은 환경을 개선하고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밀 사양관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정밀 사양관리는 육계·산란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스마트 양계 통합관제시스템에서 분석하는 기술이다.
계사 내에 각종 센서와 통신, CCTV를 설치해 병아리와 닭의 생육환경에 맞는 온도와 습도, 암모니아(NH3), 이산화탄소(CO2) 등 공기질을 모니터링하고 이 데이터를 인공지능(AI/ML)으로 판단해 냉난방장치와 환풍구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조다.
AI가 사료와 물 공급을 관리할 수 있고, 계사 내 상황을 실시간 영상으로 전문가에게 전달해 원격지원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정밀 사양관리를 위해 유럽 등 해외에서는 영상이나 소리, 센싱기술을 이용하는 다양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4월 농림축산식품부의 ‘스마트팜 혁신기술 개발사업’ 중 ‘가금류 정밀모니터링 및 지능형 사양관리’ 과제를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전북대학교, 엠코피아와 컨소시엄을 맺어 수주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는 정밀 사양관리 기술 외에도 ▲육계 체중 및 증체량 예측 기술 ▲실시간 산란계 폐사체 및 과산계 선별 기술 등을 개발하고 실증할 계획이다.
강종오 LG유플러스 스마트시티사업담당(상무)은 “정밀 사양관리 기술은 계사 농가의 일손부족을 해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농가 수익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축사, 돈사 등으로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U+,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완공
- LGU+, 서울로보틱스와 지능형 인프라 라이다 인식기술 실증
- “공공데이터는 양보다 질, 데이터 편향성 수준 지표도 제공돼야”
- 한국축산데이터, 인도 농업기술대와 MOU…인도시장 공략 본격화
- “AI 편향성 문제, 윤리적·법적 판단에 앞서 기술적 해결책 고민해야…”
- CJ올리브네트웍스, 포천시 ‘스마트팜 빌리지’ 프로젝트에 팩토리원 적용
- 양돈논가에 헬스케어 솔루션 도입했더니…폐사율 ‘줄고’ 생산성 ‘늘고’
- “축산테크 산업 생태계 확산이 목표”…한국축산테크협, 공식 출범
- 그린랩스, 中 스마트팜 시장 진출 가속화…션라이농업과 파트너십
- LG CNS, 노지형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 구축사업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