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데이터 이용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 데이터지도와 공공데이터포털을 연계하고 다양한 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의 핵심인 데이터댐의 일환으로 데이터의 전 주기(수집-가공-분석-유통-활용)를 지원하는 16개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을 지난 2019년부터 구축‧운영 중이다.
여러 빅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를 한 곳에서 편리하게 검색·활용하도록 지난해 3월 통합 데이터지도 서비스를 개시, 올해 12월까지 16개 빅데이터 플랫폼과 6개 공공‧민간 데이터 플랫폼을 연계해왔다.
현재 국내 22개 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 약 2만6000건의 소재 정보가 통합 데이터지도를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약 13만명이 통합 데이터지도를 방문‧활용했다.
국내에 구축되는 데이터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개방됨에 따라 데이터 플랫폼 간 유기적인 협력이 강조돼 왔으며, 특히 국내 공공데이터 통합창구인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포털과 통합 데이터지도 간 연계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과기정통부와 행정안전부가 협력해 데이터명칭, 데이터 설명, 생성일 등 연계에 필요한 메타데이터의 공통 항목을 마련했다. 이어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 목록 API를 통합 데이터지도에 반영하는 작업을 거쳐 30일부터 공공데이터 약 6만5000건이 통합 데이터지도에서도 검색이 가능하게 됐다.
또 이종 데이터 간 융합·활용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16개 빅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용자가 선택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항목을 지닌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융합 그래프’ 서비스도 개시한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통합 데이터지도와 공공데이터포털 간 연계를 통해 공공과 민간이 함께 구축해온 방대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가 한층 높아지는 전기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과 민간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데이터 축적‧개방 및 활용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해 데이터 기반 혁신과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함으로써 디지털 뉴딜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데이터 산업은 성장 중…산업 규모 20조원 달성
- 데이터 산업 꽃핀다…내년 1일, 마이데이터 사업 본격 시행
- 과기정통부, 주요국 정보통신기술 R&D정책·성과 공유
- 야놀자클라우드, 인공지능(AI) 기업 데이블 인수
- 하나은행, 빅데이터·머신러닝(ML) 기반 신용평가모형 고도화
- 광주시, 인공지능(AI) 집적단지 첫 삽…AI 생태계 구현 본격화
- 신한카드, 민간 데이터댐 ‘그랜데이터’ 공식 출범
- LGU+, 빅데이터 센터 구축 국책사업 ‘라이프로그’ 분야 사업자 선정
- NIA,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 분야별 중장기 로드맵 공개
- 과기정통부, 5G 이동통신 할당조건 이행점검 기준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