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핵심원재료 수급 다변화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독일 벌칸에너지(Vulcan Energy)와 계약을 체결하고 전기차(EV) 배터리 핵심원료인 수산화리튬의 안정적인 수급체계를 구축했다.
LG엔솔이 유럽 리튬 생산기업과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엔솔은 벌칸에너지와 체결된 계약을 통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수산화리튬 4만5000톤(t)을 공급받게 된다. 한 번 충전으로 5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고성능 EV 약 110만대 분의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이라는 게 LG엔솔의 설명이다.
수산화리튬은 양극재 핵심원료인 니켈과의 합성이 쉬워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고용량 EV의 배터리 원료로 사용된다.
배터리에서 니켈의 비중이 높을 수록 에너지밀도가 높아지고, EV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늘어나 관련 업계에서 하이니켈 배터리를 채택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벌칸에너지는 지열 발전과 수산화리튬 생산사업을 결합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에너지·광물기업이다.
지열 발전과 연계된 염호(Geothermal brine)에서 리튬을 직접 추출하는 DLE(Direct Lithium Extraction) 공법과 폐열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해 기존 리튬 생산업체보다 탄소배출량이 적다.
LG엔솔은 “이번 계약으로 배터리 핵심원재료인 수산화리튬의 안정적 수급이 가능해졌을 뿐 아니라 원재료 공급망 구축 과정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예측불가능한 공급 불안요소가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이 가능하도록 공급망 체계를 다변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LG엔솔은 벌칸에너지와 공급계약 체결 외에도 세계 최대 리튬 생산업체 중 하나인 칠레 SQM과 2029년까지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시그마리튬, 라이온타운 등 리튬 정광을 생산하는 해외 광산업체들과 중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원재료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LG화학과 배터리 리사이클링 업체인 라이-사이클(Li-Cycle)에 투자하면서 지분 2.6%를 확보하고 내년부터 향후 10년간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재활용 메탈 니켈 2만톤(t)을 공급받기로 했다.
관련기사
- LG엔솔, 美 GM과 3조원 들여 배터리 제3 신공장 신설
- 에코프로비엠 청주공장 화재 합동감식 진행…1명 사망·3명 부상
- KAIST·에너지연, 낙엽 활용한 친환경 마이크로 슈퍼커패시터(MSC) 개발
-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 국회 통과…반도체 등 첨단산업 육성·강화
- 올해 과학기술·ICT 분야 R&D 예산 6조4000억…전년비 11.6% 증액
- 기계연·LG엔솔, 배터리 분야 기술 경쟁력 강화 ‘맞손’
- “친환경·디지털이 산업 트렌드 주도, 내수·서비스업은 활성화”
- SKC, 이차전지·반도체 사업 키운다…“모빌리티 소재기업 도약”
- 리튬-황 전지성능 높인다…다공성 2차원 무기질 나노소재 개발
- 제네시스 전용 충전소 5곳 개소…무선충전 시범사업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