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전체 창업건수는 총 141만7973개로 집계됐다.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창업은 전년비 4.5%(6만6694개)가 감소했으나 당해 소득세법 개정 시행에 따라 사업자등록이 급증한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5.1%(5만3775개) 증가했다.
도·소매업도 온라인쇼핑 활성화 등에 힘입어 9.1% 증가했고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지침으로 인해 창업이 감소(4.7%↓)한 개인서비스업은 지난해 4.0%가 증가하는 등 일부 대면업종에서 회복 흐름이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비대면화로 인해 정보통신업(24.0%↑), 전문과학기술업(19.7%↑) 등에서 창업이 크게 늘면서 기술기반업종창업은 역대 최초로 23만개를 돌파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뤄낸 성과로, 정부가 추진한 다양한 창업·벤처 정책이 어느 정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2017년 중기부 출범 후 정부는 연간 6,000억원 수준의 창업지원 예산 규모를 꾸준히 증액해 지난해에는 2017년 대비 2배 이상 증액된 1조4000억원을 집행했다. 2조4000억원 수준의 벤처투자도 꾸준히 늘면서 지난해 역대 최대치인 7조7000억원을 달성했다.
정부는 지난 5년간 ‘중소기업 전용 연구개발(R&D) 예산 2배 확대’를 국정과제로 정해 지원을 확대하고 중기부 R&D 예산도 7,000억원 이상 증액하는 등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도·소매업은 전자상거래 등 통신판매업을 중심으로 전년비 9.1% 증가했고, 개인서비스업은 4.0% 증가했다.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감소폭이 10.0%에서 3.2%로 축소됐고, 부동산업은 소득세법 개정에 따른 기저효과로 창업이 27.5% 감소했다.
특히 기술창업은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등을 위주의 정보통신업(24.0%)과 온라인광고업 등을 중심으로 한 전문·과학·기술업(19.7%)이 창업 증가를 주도하면서 4.7%(1만671개)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청년층 창업은 4.3%(2만875개)가 증가한 반면 부동산업 창업이 급감함에 따라 40대 이상 연령대의 창업이 감소했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 시 모든 연령대에서 창업이 증가했다. 기술창업은 40세 이상에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창업은 2.9%(3,600개) 증가했고 개인창업은 5.2%(7만294개) 감소했다.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법인창업은 2.3%(2372개), 개인창업은 5.5%(5만1403개)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2.0%) 지역만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으나, 부동산업 제외 시 대부분 지역(13개 지역)에서 증가하고 광주(0.8%↓), 전북(4.0%↓), 전남(2.3%↓) 등의 5개 지역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 중기부, 벤처·스타트업 아카데미 본격 시행…SW 개발자 인력 공급
- KT·대전시, 지역 유망 스타트업 발굴…글로벌 진출 돕는다
- 중기부, “3,100억원 규모 지역 中企 거점 마련…규제자유특구 지정도”
- SK, 이사회 중심경영 강화…관계사 사외이사 ‘블랙독’과 세미나
- 네이버D2SF, SME 스케일업 지원하는 스타트업 2곳 신규 투자
- [데스크칼럼] 기술과 결합하면 창업이 된다…‘XX테크’ 시대의 미래
- [데스크칼럼] “야, 너두 할 수 있어”…창업교육의 빛과 그림자
- 과기정통부, 연구개발 특구 육성사업에 1,368억 투입
- 구글클라우드, 초기 스타트업 지원 확대
- 중기부,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첫 테마 3개 과제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