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디지털전환(DT)과 제2 벤처붐으로 급증한 소프트웨어(SW) 개발자 인력 공급을 위해 ‘2022년 벤처스타트업 아카데미’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벤처기업 등이 속한 협체·단체가 회원사의 인력수요를 조사하고, 훈련기관과 협약을 체결한 후 설계된 디지털·신기술 분야 훈련과정으로 진행된다.

중기부는 SW 인력부족 현상을 타계하고자 지난해 6월부터 노동부와 함께 부처 협업기반 SW 인력양성 분야 신설을 통해 1200여명의 교육을 추진했다.

올해는 중기부 관할 5개 협체·단체를 통해 훈련생을 모집하고, 3∼6개월 단기 교육 후 교육생의 최소 50% 이상을 벤처기업에 채용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사업에 참여하는 협체·단체는 교육인원을 채용할 벤처기업을 모집하고 기업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과정을 전문 교육기관과 설계하며, 기업 현직자가 강의에 참여하는 등 최적의 SW 교육과정을 설계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이를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교육기관들과 업무협약 등을 마무리했다고 설명했다.

사업에 참여하는 청년구직자에게는 사업 추진기관에서 최적의 벤처기업과의 일자리 매칭과 기업 현장방문 등을 지원한다. 교육기간 중 훈련비는 고용노동부의 케이-디지털 트레이닝(K-Digital Training) 사업을 통해 국비로 지원된다. 교육기간 내 월 30만원 내외의 장려금도 제공될 예정이다. 

중기부는 참여기업에게 자금, 기술개발(R&D), 판로, 수출, 인력(산업기능요원), 창업 등 6개 분야, 18개 지원사업(1억1642억원 규모)에서 평가 가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아울러 벤처기업에게 차수별·지역별 신입사원 모집, 공동채용 설명회, 영상 촬영·제작 전문업체를 통한 기업 홍보영상물 제작 등도 지원한다.

벤처기업 신입사원 등을 대상으로는 조기적응, 장기근속 등을 도모하기 위해 신입사원이 벤처기업 조직에서 갖춰야 할 기본소양 역량강화 교육을 3일간 집체훈련 형태로 진행한다.

박상용 중기부 벤처혁신정책과장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고용시장 위축과 벤처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치 지속으로 인해 청년들이 일자리를 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문과 졸업생 등 SW 분야 취업이 어려웠던 청년구직자가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미래 성장가능성이 높은 일자리를 찾기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