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디지털전환(DT)과 탄소중립 분야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올해 표준화 연구개발(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에 지난해(374억원) 대비 7.8% 증가한 403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75억원 규모의 올해 1차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신규 연구개발과제 58개를 발굴·지원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공적표준화기구(ISO/IEC)와 사실상표준기구(IEEE 등)에 국제표준을 제안해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 선점을 추진하고 인력양성, 탄소중립 국제상호인정 검정체계 구축 등의 기반조성을 지원하는 연구개발 사업이다.
이번 1차 공고에서는 지정공모형 20개(41억원), 품목지정형 19개(17억원), 자유공모 19개(17억원) 등 58개 신규 연구개발 과제를 선정한다. 국표원은 올해 과제를 통해 디지털전환 및 저탄소 기술 관련 표준개발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자율차 운행정보, 웨어러블 생체신호 측정 센서 등 디지털 기술 국제표준 개발과 이를 위한 기반 조성에 13개 과제를 배정했다.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분야 광물 탄산화, MW급 청정수소 생산 및 저장기술 개발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 국제표준 개발과 탄소국경세(CBAM) 대응 등 기반조성을 위해 18개 과제를 추진하는 등 신규과제의 절반 이상(31개 과제)을 디지털전환 및 탄소중립 분야에 집중한다.
자유공모 과제는 사업신청기관이 기술이나 평가방법 등을 국제표준기구에 제안할 계획서를 제출해 선정되면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국제표준화 등록이 가능한 설계·제조·공정기술, 시험방법 등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학계, 기관 등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과제별로 매해 1억2000만원 이내(최대 5년간), 총 19개의 과제를 지원한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디지털전환과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변화의 흐름에 신속히 대응하고 기업의 국제표준화 활동 촉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디지털 대전환으로 ‘스마트국방’ 실현…정부, 스마트국방에 1천억 투입
- 과기정통부,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 확산사업 공모 개시
- 산업부·대한상의, 제2차 탄소중립 산업전환 세미나…규제동향 논의
- 중기부, 디지털전환·탄소중립 등 中企 R&D 유망품목 발표
- 이산화탄소를 친환경 연료로 전환…기계연, 마이크로채널 반응기 개발
- 국표원, 자율주행 표준개발 완료…KS 제정 작업 착수
- “인공지능(AI)·빅데이터 분야 표준화 시급…이유는?”
- 롯데케미칼, 에어리퀴드와 수소 모빌리티 사업 본격화
- 산업부·중기부, 中企 맞춤형 전략물자 제도 설명회 성료
- 정부 14개 부처, 2022년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