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방부가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기반 스마트국방 전략’을 발표하고 올해 1,003억원 투입을 시작으로 관련 예산을 확대한다.
데이터(D)·네트워크(N)·인공지능(A)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혁신으로 스마트 강군을 건설하는 동시에 군수산업에서 디지털 신시장을 창출하겠다는 것으로,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23일 개최한 제27차 전체회의에서 다뤄졌다.
먼저 국방 분야에서 민간 개발 기술을 군에서 실증하고, 적용 타당성이 입증된 과제를 즉시 적용하거나 일부 보완요소를 추가개발(1∼2년)해 D·N·A 신기술의 개발과 확산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국방부 공동 국방 전용사업을 신설, 2025년까지 4년간 총 369억원(과기정통부 204억원, 국방부 165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 스마트국방의 기반이 되는 국방 디지털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 군 통신망과 통합 데이터센터의 고도화 사업도 추진된다. 국방분야에 5G 이동통신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군용망과 상용 5G 연동기술(4년간 총 204억원)과 보안기술(4년간 총 75억원)을 개발한다.
군 장병의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역량 강화에도 나서 군 AI·SW 전문인력 1,000명과ICT 예비산업인력 5만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장교 대상 정보통신기술 소양교육을 의무화하고 일반병사·단기복무간부 등을 위한 온라인 교육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이다.
나아가 D·N·A 기술이 군 전력으로 신속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국방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 사업 기획·관리 전문성을 강화하고, 실증을 거친 기술의 확산사업 착수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기존 3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는 등 관련 규정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임혜숙 장관은 “기술 패권경쟁 시대에 디지털 기술력은 국가 안보차원에서도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5G·인공지능 등 국가 필수전략 기술을 적극 육성하는 한편, 민간의 혁신기술이 국방 분야로 확산돼 관련 기업의 성장과 국방 디지털 대전환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국방부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방부 서욱 장관은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첨단 디지털 기술은 미래전을 주도할 국면 전환자”라며, “디지털 기술뿐만 아니라 전문인력 전반에 걸쳐 과기정통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스마트국방 혁신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 확산사업 공모 개시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M&A 기금 1천억 조성
- 과기정통부, 유료방송 규제 개선·중소SO 지원 구체화…법령개정 추진
- 전운 감도는 우크라이나, 한 달만에 또 사이버 공격 발생
- 정부, 글로벌 인공지능(AI) 보안기업 60개사 키운다
- 과기정통부, AI 융합사업·과제 발표…716억 투입
- 긴장 높아진 우크라이나, 사이버 테러…“정부기관 70여개 사이트 다운”
- 경기도·육군, 스마트 국방 체계 구현 ‘맞손’…MOU 체결
- 산업부,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신규과제 58개 발굴…403억 투입
- 정부 14개 부처, 2022년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