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충당금 마무리, 권영수 등판 후 지배력 강화 시기에 ‘촉각’

LG에너지솔루션 대전연구원 전경
LG에너지솔루션 대전연구원 전경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전기차(EV) 화재위험과 관련해서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제조한 배터리 조사에 착수했다.

LG엔솔은 지난해 GM과의 충당금 문제를 마무리짓고 그룹 핵심인사인 권영수 대표이사(부회장)를 등판시켜 EV 시장 지배력 강화에 집중할 시기에 또 다시 ‘배터리 이슈’ 문제가 재점화될까 촉각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AP통신, 로이터 등 주요 외신보도에 따르면, NHTSA는 5일(현지시간) LG엔솔의 배터리를 탑재한 EV 13만8324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했다. NHTSA는 차량에서 결함이 발견되면 제조사에 리콜을 명령할 권한을 갖고 있다.

이번 조사는 제너럴모터스(GM), 메르세데스벤츠, 현대차, 스탤란티스, 폭스바겐 등 5개 완성차OEM이 2020년부터 LG 배터리 결함 등에 따른 화재위험을 사유로 연쇄적인 차량리콜을 한 데 이은 것이다.

NHTSA는 LG엔솔은 물론 LG엔솔의 배터리 장비를 구매한 타 완성차OEM에도 연락을 취해 안전리콜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NHTSA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는 2020년 2월 LG 배터리 셀의 내부결함으로 화재위험이 크다며 2019년형 스마트포투EV를 리콜했다.

스탤란티스도 지난 2월 수십 건의 차량화재 신고를 접수하고 LG 배터리가 장착된 2017∼2018년형 퍼시피카 하이브리드 미니밴을 회수했다. 폭스바겐도 지난달 2021년형 ID4 전기차를 리콜했다.

현대차도 비슷한 사유로 2019년형과 2020년형 코나EV 회수 조치에 나선 바 있다. 지난해에는 배터리 전기 단락현상에 따른 화재위험으로 코나와 아이오닉EV를 대상으로 2차 리콜을 시행했다. GM은 2020년 11월 LG 배터리 제조결함을 이유로 쉐보레 볼트EV 14만대를 리콜했다. 

LG엔솔은 현대차 리콜로 총 6,900억원의 비용을 지출했고, GM에는 리콜비용으로 1조4000억원을 지급한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권영수 대표이사
LG에너지솔루션 권영수 대표이사

LG엔솔은 NHTSA의 이번 조사 소식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GM 볼트EV 리콜과 관련한 비용정산을 마무리짓고, 그룹 내 핵심인사인 권영수 대표를 등판시켜 올해 초 기업공개(IPO), 시장 지배력 강화라는 중대차한 현안을 앞둔 상황에서 그간 끈질기게 따라 다닌 ‘불량 배터리’ 이슈가 재점화될까 우려하고 있는 모양새다.

LG엔솔은 6일 NHTSA의 이번 조사에 대해 “완성차OEM이 리콜을 실시할 경우 후속조치로 해당 부품사에 대해 타 업체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이 공급되는지의 여부에 대해 확인하는 일반적인 절차”라고 해명했다.

​GM의 볼트EV, 현대차의 코나/아이오닉 등 기존 주요 리콜에 대해서는 “NHTSA의 공식 절차가 이미 완료됐고, 차량 고객사와 합의도 마무리된 사안으로 추가적 이슈는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FCA 퍼시피카 PHEV는 현재 원인조사가 진행 중이고, 폭스바겐 ID4의 경우 배터리 모듈에 부착되는 연성회로기판의 단순 납땜 불량에 따른 리콜로 이미 기판 공급업체 공정이 개선된 사안”이라며 “후속조사에 대해 성실하게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