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중소기업 1천곳 이상이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위해 대기업·공공기관 등과 함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6월 말까지 모집한다.
우선 1차로 삼성(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SDI), LG전자, 한국수력원자력, 한전KDN, 한전KPS, 부산항만공사 등의 참여가 확정돼 이들 주관기관별로 참여기업 모집이 이뤄진다.
도입기업 모집은 주관기관별 계획에 따라 각각 진행되며 삼성과 LG전자가 11일부터 모집을 개시하고 한국수력원자력, 한전KDN 등 나머지 4개 기관도 순차적으로 모집한다.
사업의 지원방식은 정부와 주관기관의 지원 비율에 따라 크게 유형1(기초/고도화1·2)과 유형2(소기업전용)로 나눠진다.
유형1은 정부지원금 비율이 최대 30%, 민간부담금(주관기관 및 도입기업)의 비율은 최소 70%이며, 정부지원금은 고도화 단계에 따라 기초 4,200만원, 고도화1은 1억2000만원, 고도화2는 2억4000만원을 상한액으로 지원한다.
민간부담금은 구체적으로 대기업 등 주관기관이 30% 이상 부담하고 도입기업은 최대 40%만 부담하게 돼 도입기업은 비교적 적은 부담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다.
유형2는 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자 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기초단계의 소액지원(최대 2천만원) 사업이다.
정부와 주관기관이 각각 50%씩(각각 최대 1천만원) 부담해 도입기업은 별도의 구축비 부담 없이 간이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지난해 삼성그룹, 현대자동차그룹, LS일렉트릭, 포스코 등 대기업 9곳과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서부발전 등 공공기관 23곳이 참여해 270억원의 출연금으로 약 1천곳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관련기사
- ETRI, 1만km 원거리 연결한 스마트공장 ‘실시간 제어’ 성공
- 국내 사이버 보안기업, 디지털전환(DT) 가속화 이슈 바람타고 ‘훨훨’
- 중기부,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 참여기업 모집
- 중기부,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통해 일자리 개선 추진
- 200km 밖에서 시스템 제어…ETRI 원격 제어 스마트공장 기술 개발
- “공공데이터는 양보다 질, 데이터 편향성 수준 지표도 제공돼야”
- 콩가텍, 개방형 표준 기반 TSN 지원 ‘IIoT 컴퓨팅 플랫폼’ 공개
- “4만명 현장 다녀갔다”…2022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성료
- [신간] ETRI, ‘스마트 팩토리 : 미래 제조 혁신’ 발간
- 네이버파이낸셜, 소상공인 정책지원금 조회 서비스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