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2명당 1명은 차량 보유, 전기차(EV) 비율은 전체 1%
국내 자동차 등록 대수가 2,500만대를 돌파했다. 전체 인구 2명당 1대의 차를 보유한 셈이다. 전체 등록된 차량 중 전기차(EV)는 1%를 차지했다.
국토교통부는 13일 올해 1분기 자동차 누적 등록 대수가 2,507만대로 전분기비 0.6%(15만9000대) 증가했다고 밝혔다.
누적 점유율은 국산차 88.0%(2,206만9000대), 수입차 12.0%(300만1000대)로 집계됐다. 수입차 점유율은 2018년 9.4%에서 2019년 10.2%, 2020년 11.0%, 2021년 11.8%로 상승세를 보였다.
친환경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는 전분기비 7.7%(8만9000대) 증가하면서 누적 등록 대수 124만8000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등록 비중은 5%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제주(8.4%), 세종(7.1%), 인천(6.6%), 서울(6.1%) 순으로 높은 비중을 보였다.
전기차(EV)는 전년동기비 74.9%(11만대), 전분기비 11.6%(2만6000대) 증가하면서 누적 대수 25만8253대로 집계됐다.
수소차의 누적 등록 대수는 2만683대로 전년동기비 66.3%(8,244대), 전분기비 6.6%(1,279대) 늘었다. 하이브리드차는 전분기비 6.7%(6만1000대) 증가한 96만9000대로 조사됐다.
휘발유차는 전분기비 0.7%(8만1000대) 증가했고 경유/LPG차는 0.1%(1만2000대) 감소했다.
1분기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반도체 수급부족 등으로 전년동기비 12.6%, 전분기비 3.3% 감소한 39만3000대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전년동기비 울산(22.4%), 경남(19.2%), 서울(18.3%) 등에서 신규 등록 감소폭이 컸다.
차종별로는 전분기비 승용차 5.8%, 승합차 28.3%, 특수차 9.8% 각각 감소했고 화물차는 14.8% 늘었다. EV 신규 등록 대수는 2만8000대로 전분기비 11.2% 감소했다.
최근 1년간 월별 등록 대수를 보면 EV 구매보조금 지원시기에 따라 지난해 6월과 올해 3월에 등록된 건수가 많았다.
새로 등록한 EV 가운데 국산차 점유율은 지난해 74.1%에서 올해(1분기) 79.0%로 소폭 오름새를 보였다. EV의 44.8%인 11만5000대는 경기과 서울, 제주에 등록된 가운데 올해 1분기에는 부산(23.9%), 울산(19.7%), 충북(18.2%)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제작사별 EV 누적 등록 점유율은 현대차가 44.2%, 기아가 24.3%, 테슬라가 13.8%로 집계됐다. 1분기 누적 등록한 상위 EV 모델은 코나일렉트릭(12.6%), 아이오닉5(11.3%), 포터II(11.0%), 테슬라 모델3(9.3%), 니로EV(7.7%) 순이다.
박지홍 국토부 자동차정책관은 “친환경차 보급이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시장 흐름과 시대 변화에 맞는 자동차 정책을 수립하고, 국민이 원하는 맞춤형 통계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리비안, 1분기 EV 2,500여대 생산…“올해 목표치 2만5000대 가능” 자평
- 美 NHTSA, “LG엔솔 배터리 조사 착수”…LG엔솔 “후속조치 일환” 거리두기
- SK온, 오토실리콘과 ‘배터리관리칩(BMIC)’ 국산화 성공
- 68조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모빌리티·이차전지 기업 대응 전략은?”
- 이차전지 미래 신기술 공유…‘인터배터리 2022’ 17일 개막
- QR코드 스캔으로 전기차 충전…환경부, 티맵·카카오 통한 결제서비스 개시
- 솔루스첨단소재, 북미 전지박 사업 드라이브…캐나다 퀘백 공장 7월 첫삽
- 인피니언, 말레이 쿨림 팹(Fab)에 20억 유로 투자…파워IC 생산량 확대
- 빈패스트 전기차(EV) SUV에 아마존 ‘알렉사’ 탑재된다
- 특허청·한국가스공사, 수소 공급망 핵심기술 확보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