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충전소에 관한 전세계 주요국의 특허출원이 2010년 이후 연평균 15.6%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소충전소는 수소차에 350~700기압의 고압으로 수소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소규모 플랜트 설비다.
2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지식재산(IP) 세계 5대 특허청에 제출된 수소충전소 기술 출원건수는 총 1,352건이다.
국가별로는 중국(504건/37.3%)에 가장 많이 출원됐다. 이어 일본(282건/20.9%), 미국(257건/19.0%), 한국(171건/12.6%), 유럽(138건/10.2%) 순으로 집계됐다.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일환으로 범세계 차원에서 수소차와 충전시설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것이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이 늘어난 이유로 보인다.
출원인별 국적을 보면 일본(31.3%/423건)에서 기술개발이 가장 활발했다. 2위를 차지한 중국(29.2%/395건)의 경우, 2018년 후부터 출원건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어 유럽(18.8%/254건), 한국(9.9%/134건), 미국(8.7%/117건)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2010년 이후 출원이 크게 증가해 연평균 5.5%의 출원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세계 평균(15.6%)치 대비 다소 낮은 성장세를 보였다.
2019년 이후 액화수소충전소 기술(8건)은 유럽(5건), 일본(5건), 중국(5건), 미국(3건)을 추월하고 있으나 수소와 전기, 휘발유 등을 함께 충전할 수 있는 복합형 수소충전소 기술(6건)은 중국(21건), 미국(11건)에 비해 저조한 출원율을 보였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기업(79.9%)이 대부분의 출원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학(6.7%) 및 연구소(4.5%)가 다른 나라 평균(각각 3.6%, 2.3%)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 학계와 연구계에서도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허청 일반기계심사과 홍기정 심사관은 “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한 핵심시설인 수소충전소의 기술은 성장단계에 진입한 상태로 관련 특허출원도 지속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이어 “관련 시장이 커질 전망이고 세계 특허출원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핵심 기술에 대한 경쟁력을 높이면서 수소충전소 보급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특허청·한국가스공사, 수소 공급망 핵심기술 확보 나선다
- 자동차 등록대수 2,500만대 돌파…“친환경차 등록 대수는 5%”
- “내연기관 굿바이, EV시대 성큼”…미래차 기술, 어디까지 왔나
- 올해 ESG 관련 주요 연관어는 ‘수소경제’·‘메타버스’·‘MZ세대’
- 수소경제 로드맵 이행 미흡…“정책 연속성 확보, 전략기술 지정 등 생태계 육성해야”
- 산업부, 수소트램 상용화에 424억 투입…2023년 상용화
- 친환경자동차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구축 아파트에 충전기 설치해야”
- ‘친환경·모빌리티 신산업 도입 확대’…경기도·현대차 ‘맞손’
- LG전자, 애플망고 지분 인수… EV 충전 솔루션 사업 본격화
- 반도체 특허 심사기간, 대폭 단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