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충전소 [사진=게티이미지]
수소충전소 [사진=게티이미지]

수소충전소에 관한 전세계 주요국의 특허출원이 2010년 이후 연평균 15.6%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소충전소는 수소차에 350~700기압의 고압으로 수소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소규모 플랜트 설비다.

2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지식재산(IP) 세계 5대 특허청에 제출된 수소충전소 기술 출원건수는 총 1,352건이다.

국가별로는 중국(504건/37.3%)에 가장 많이 출원됐다. 이어 일본(282건/20.9%), 미국(257건/19.0%), 한국(171건/12.6%), 유럽(138건/10.2%) 순으로 집계됐다.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일환으로 범세계 차원에서 수소차와 충전시설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것이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이 늘어난 이유로 보인다.

IP5 출원인 국적별 출원 비율 [특허청 자료인용]
IP5 출원인 국적별 출원 비율 [특허청 자료인용]

출원인별 국적을 보면 일본(31.3%/423건)에서 기술개발이 가장 활발했다. 2위를 차지한 중국(29.2%/395건)의 경우, 2018년 후부터 출원건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어 유럽(18.8%/254건), 한국(9.9%/134건), 미국(8.7%/117건)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2010년 이후 출원이 크게 증가해 연평균 5.5%의 출원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세계 평균(15.6%)치 대비 다소 낮은 성장세를 보였다. 

2019년 이후 액화수소충전소 기술(8건)은 유럽(5건), 일본(5건), 중국(5건), 미국(3건)을 추월하고 있으나 수소와 전기, 휘발유 등을 함께 충전할 수 있는 복합형 수소충전소 기술(6건)은 중국(21건), 미국(11건)에 비해 저조한 출원율을 보였다.

IP5 수소충전소 기술 출원 동향 [특허청 자료인용]
IP5 수소충전소 기술 출원 동향 [특허청 자료인용]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기업(79.9%)이 대부분의 출원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학(6.7%) 및 연구소(4.5%)가 다른 나라 평균(각각 3.6%, 2.3%)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 학계와 연구계에서도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허청 일반기계심사과 홍기정 심사관은 “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한 핵심시설인 수소충전소의 기술은 성장단계에 진입한 상태로 관련 특허출원도 지속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이어 “관련 시장이 커질 전망이고 세계 특허출원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핵심 기술에 대한 경쟁력을 높이면서 수소충전소 보급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