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서비스 로봇 기술을 선도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비스 로봇 산업 발전을 좌우할 핵심 국제표준 선점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서비스 로봇의 소프트웨어 모듈용 정보모델’ 표준안이 신규작업표준안(NP)으로 채택됐다고 16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신규작업표준안 채택 여부를 묻는 기술위원회 투표에서 영국, 일본, 중국 등 회원국 대다수의 찬성을 이끌어내며 서비스 로봇 분야 핵심 국제표준 선점의 첫 관문을 통과했다.
서비스 로봇은 필요한 기능에 따라 모듈을 탈부착할 수 있는 조립식 장난감과 같은 모듈식 로봇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기능을 레고를 조립하듯 손쉽게 추가·변경하고 모듈을 결합해 새로운 로봇을 개발할 수 있으며, 모듈별 제작업체 전문화를 통해 개발·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모듈 간 호환성 확보가 필수다. 우리나라가 제안한 국제표준안이 바로 서비스 로봇에 사용되는 모듈의 통합과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고, 모듈 간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규정하는 SW 표준이다.
로봇 모듈의 호환성에 직결되는 모듈용 소프트웨어 입출력 변수, 안전 및 보안 관련 표현 방법, 모듈 간 상호 연결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강원대학교와 경희대학교가 공동으로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국제표준안을 개발했으며, 강원대학교 박홍성 교수가 국제 프로젝트팀 리더를 맡아 국제표준 제정 절차를 이끌어 갈 예정이다.
이 표준은 로봇이 다양한 조합과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향후 우리나라가 서비스 로봇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우리나라가 그간 로봇 산업에서 축적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국제표준을 선도할 수 있게 됐다”며 “미래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국제표준을 선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SKT, 인티그리트와 개방형 로봇 데이터 플랫폼 구현 ‘맞손’
- ‘월드IT쇼’서 맞붙는 SKT-KT, “AI칩·UAM·방역로봇 등 신기술 겨룬다”
- “4만명 현장 다녀갔다”…2022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성료
- 오딘로보틱스, AI 출입 솔루션에 네이버 출입증 연동
- “아태지역 ICT 투자 40%, 인공지능·로보틱스 등 신기술에 집중”
- ETRI·KAIST, 미래기술 선점 ‘맞손’…신성장 동력확보 일환 공동연구
- 클로봇, 현대차 제로원으로부터 시리즈B 후속투자 유치
- 네이버, 자체 개발 자율주행 SW ‘알트라이브(ALTRIV)’ 실증
- ETRI, 24일 삼성동 코엑스서 ‘ETRI 컨퍼런스 2022’ 개최
- 문화안내도 로봇이 한다…클로봇, 문화해설 로봇 사업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