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MG·HSBC 보고서, 자이언트 스타트업은 중국·인도 최다

[source=startupdonut]
[source=startupdonut]

아태지역에서 중국, 인도를 중심으로 ‘자이언트 스타트업’이 부상하는 가운데 한국이 막대한 연구개발(R&D) 투자 및 인재발굴 노력과 함께 국제적인 창업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KPMG가 HSBC와 공동으로 조사한 ‘아시아태평양 이머징 자이언트 동향 및 전망(Emerging Giants in Asia Pacific)’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21년 벤처 펀딩이 급증하면서 2017년 3개에 불과하던 유니콘기업이 2022년 4월 기준 12개로 증가했다.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해 중국, 인도, 일본, 호주, 싱가포르, 홍콩(SAR),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아태지역 12개 주요 시장에서 최대 5억달러의 가치로 평가되는 6,472개의 기술 중심 스타트업 기업을 조사했다. 

아태지역 상위 100개 성장유망 기업을 공개하는 동시에 각 지역별 10개의 떠오르는 기업 리스트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지역의 자이언트 스타트업은 중국(32.8%)과 인도(30.1%)에 가장 많았다. 일본(12.7%)과 호주(8.7%), 싱가포르(3.8%), 한국(2.4%), 홍콩(SAR)(1.2%) 등이 뒤를 따랐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및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서도 전체적으로 약 3%를 차지하며 거대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 스타트업 중에는 농수산물 무역 플랫폼 트릿지(Tridge/10위),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티투닷(42dot/49위), 두산로보틱스(79위) 등이 아태지역 100대 이머징 자이언트(Emerging Giant)에 랭크됐다.

지난해 아태지역의 유니콘기업은 450개로 전년비 25% 증가했다. 전세계 민간 벤처기업에 투자된 6,700억달러 중 1,930억달러가 아태지역에 단행됐으며 전년비 65% 증가, 기록적인 투자를 보였다.

보고서는 팬데믹에서 벗어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는 투자자들의 관심과 함께 시장 및 섹터별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이 스타트업 거점으로 떠오른 동인으로는 디지털 서비스 연구개발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꼽았다. 2020년 R&D 투자는 830억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GDP의 4.6%에 해당하는 수치로 전세계에서 다섯 번째 규모다. 

보고서는 R&D 투자의 75%에 해당하는 투자금을 민간기업에서 충당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 기회를 창출하는 선순환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의 유니콘기업은 비바리퍼블리카, 무신사, 마켓컬리 등 플랫폼 산업에 집중됐으며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에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이동 삼정KPMG 스타트업지원센터장은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한국의 주요 웹툰 플랫폼 기업들에 해외시장 판로를 열어 줬다”고 분석했다. 네이버는 DC코믹스 등 미국 출판계와 협업 중이며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2021년 미국 웹툰 플랫폼 타파스를 5억1000만달러에 인수했다. 

[KPMG 보고서인용]
[KPMG 보고서인용]

한편 아태지역 스타트업 6,472개의 산업을 살펴본 결과 핀테크, 생명공학,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등 전통적인 섹터를 넘어 기술 분야의 다양성이 두드러졌다. 

이머징 자이언트 기업의 25% 이상(1,780개)이 블록체인 관련 범주인 대체불가토큰(NFT)과 탈중앙금융(DeFi) 관련 분야로 분류됐다. 블록체인 부동산과 탈중앙화 자율조직(DAO)도 상위 20개 업종에 포함됐다. 

지속가능성 및 ESG 분야도 늘었다. 상위 20개 섹터에 전기차(EV) 충전 인프라, 재사용 포장지, 지속가능한 패션 등이 포함됐으며 이머징 자이언트 기업의 약 15%가 지속가능성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경과학기술, 정신건강기술 등 의료 관련 분야도 4개가 포함됐다. IoT 보안, 디지털트윈(DW) 등 스마트시티 영역은 상위 10개 분야 내에 진입했다. 양자컴퓨팅, 인지컴퓨팅 등 첨단 컴퓨팅 기술도 상위 20개 분야에 포함됐다.

조나단 입 HSBC코리아 글로벌뱅킹 총괄은 “한국의 인재풀과 창업 생태계는 창업가에게 이상적인 환경”이라며, “전자상거래(e커머스), 인터액티브 엔터테인먼트, 녹색기술과 같은 분야에서 성공하는 스타트업이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 이들 분야의 많은 스타트업은 사업을 확대할 의지도 있어 해외에서도 성공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