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한-말레이시아 IT협력프로젝트’ 사업으로 추진한 농작물 관리·환경대응에 필요한 인프라를 국내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관련 기업의 해외진출을 성공적으로 지원했다.
27일 NIA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과기정통부와 말레이시아 통신멀티미디어부 간 체결한 협약을 통해 이뤄졌다. NIA가 2020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AI 기반 스마트팜분야 공동협력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현지 AI 스마트농업 모델 시범구축을 위해 스마트팜 전문기업인 쉘파스페이스가 수행업체로 2년 동안 참여했고 최근 성공적으로 사업을 마무리했다.
이 사업은 농장에 설치된 IoT 센서가 기후, 토질 등 환경 빅데이터를 수집, 이를 분석해 농작물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초기에는 외산클라우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했으나 올해 통합서버, 관리 PC 및 방화벽을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NCP)에 구축, 이를 모두 이관했다.
NIA는 다량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자 관수·관비, 농약사용 최적화 등 맞춤형 솔루션 구성이 강화됐고 사용자 활용도도 강화해 작황개선 및 영농비 절감 등 시범시스템의 경제성 효과를 충분히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NIA 이재호 본부장은 “스마트팜 기술력을 가진 기업과 전세계 인프라 거점을 가지고 있는 국내 클라우드 기업과 협력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했다”며 “우수한 ICT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 한기웅 기술이사는 “신뢰성과 확장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해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쉘파스페이스 윤좌문 대표는 “사업에 국산 클라우드를 도입함으로써 맞춤형 솔루션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됐다. 적용 지역의 확장도 용이해 비즈니스 영토확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NIA, 지역 스타트업과 상생…‘대구·경북 청년CEO 간담회’ 성료
- KT, 4.7GHz 대역 5G 특화망 테스트베드 구축
- 과기정통부, AI칩 스케일업 네트워크 발대식…AI칩 국산화 협력 ‘맞손’
- NIA·국방부, 국방 분야 디지털 플랫폼 구현 ‘맞손’
- 과기정통부, 공공분야 국산 AI반도체 적용 요청
- 스마트팩토리 프로젝트의 성공여부…“일하는 방식의 혁신·고도화”
- 티맥스소프트, 오픈소스 미들웨어 시장 공략 강화
- NIA, ‘지능형 초연결망 인프라 공모과제’ 착수보고회
- 내달 ICT 분야별 행사 줄이어…과기정통부, 2주간 ‘디지털 산업 시리즈’
- SKT, 코난테크놀로지 지분 확보…2대 주주 등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