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스마트공장으로 제조혁신을 선도하는 70개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2022 스마트제조혁신대전’을 7일까지 서울 aT센터에서 개최한다.
2022 스마트제조혁신대전은 그동안 정부와 중소기업·대기업이 서로 협력을 통해 만들어낸 스마트제조혁신의 성과를 널리 알리고 급변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한 중소제조업의 스마트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열렸다.
중기부는 중소 제조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4년부터 민간과 함께 중소 제조업체에 스마트공장 보급을 지원한 결과 2022년말까지 약 3만개의 스마트공장 구축 달성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스마트공장 구축의 수적인 확산과 함께 구축기업은 생산성 29.4% 증가, 품질 42.8% 향상, 원가 15.9% 절감 등의 높은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기업당 매출 6.4% 향상을 비롯해 고용 1.5명 증가, 산업재해 4.9% 감소 등 기업 성장과 좋은 일자리 창출로 연결되는 것이라고 중기부는 소개했다.
2022 스마트제조혁신대전은 ‘스마트제조혁신의 함성, 함께 성장하는 대한민국’의 슬로건 아래 ▲유공자 포상 ▲전시관 ▲사업(비즈니스) 상담회 ▲컨퍼런스 ▲인공지능 경진대회 등 세부행사로 구성된다.
총 70개 업체가 참여해 자율생산 기술인 디지털트윈(DW), 인공지능(AI/ML) 솔루션, 협업로봇 등을 선보였고 스마트제조혁신 관련 이슈와 동향을 들어 볼 수 있는 각종 컨퍼런스가 진행된다.
특히 스마트공장 수요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자금, 기술인력 지원제도 안내와 스마트공장에 설치되는 다양한 솔루션과 연동 설비 등을 공급하는 기업과의 비즈니스 상담창구도 마련됐다.
5일 열린 개막식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 조주현 차관이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한 제조혁신 유공자에 대해 대통령 표창 및 국무총리 표창 각 1점,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 20점 등 총 22점을 수여했다.
조 차관은 축사에서 “우리나라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나라로 국내 제조업 경쟁력의 원천은 끊임없이 도전하고 혁신하는 중소기업의 노력과 열정에 있었다”며 “정부는 고도화된 스마트공장 확대, 부처협업을 통한 전략성 있는 스마트공장 구축, 민관이 서로 협력하는 대중소 상생형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참여기업과 민간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해 2023년 상반기 중 ‘중소제조업의 스마트화 추진전략’을 새롭게 마련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LGU+, ‘조선·해운·항만 디지털전환 컨퍼런스’서 B2B 솔루션 공개
- LGU+, 화낙과 中企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개발 협력
- 현대모비스, 이동형 협동·자율주행 로봇 개발…시범운영 돌입
- 중기부, 디지털 클러스터 구축사업 참여 컨소시엄 13개 선정
- 팬데믹이 견인한 스마트제조 트렌드…“아태지역, 기술 도입·확산 선도”
- KB국민은행·기보, 전략산업 육성 일환 中企 금융지원 ‘맞손’
- 중기부,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 71개 기업·기관 선정
- 과기정통부, 5개 대학과 인공지능 산학협력 플랫폼 구축
- 중기부, 2022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스타트업 시상식
- 과기정통부,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학술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