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LG디스플레이(LGD) 모델이 메타 테크놀로지 기술이 적용된 3세대 OLED TV 패널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LGD]
4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LG디스플레이(LGD) 모델이 메타 테크놀로지 기술이 적용된 3세대 OLED TV 패널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LGD]

LG디스플레이(LGD)가 ‘CES 2023’ 개막을 앞둔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신기술인 ‘메타(META)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3세대 OLED TV 패널을 정식 공개했다.

지난해 유기발광 소자에 중(重)수소 기술과 개인화 알고리즘을 적용해 30% 밝아진 2세대 OLED TV 패널을 공개한 LGD는 이날 기존 대비 휘도(화면 밝기)를 60%, 시야각은 30%까지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3세대 TV 패널을 공개했다.

유기물의 빛 방출을 극대화하는 초미세 렌즈와 휘도 강화 알고리즘을 결합한 3세대 메타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3세대 TV 패널은 에너지 효율을 약 22% 개선할 수 있다고 LGD는 소개했다.

3세대 OLED TV 패널은 기존 1,300니트 수준인 최대 휘도를 2,100니트(HDR 기준)로 대폭 높인 점이 특징이다.

기존 OLED의 강점인 완벽한 블랙 표현에 메타 테크놀로지 기술이 적용되면서 원작자가 의도한 색감과 느낌까지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그간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의 상당량이 패널 내부 반사로 인해 밖으로 나오지 못해 휘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LGD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라 불리는 초미세 렌즈를 통해 이 난제를 극복했다”고 설명했다. 아주 작은 크기의 올록볼록한 렌즈 패턴 위에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물을 증착해 빛 방출을 극대화함으로써 동일 휘도 기준으로 기존 대비 에너지 효율을 약 22% 개선하는 고난이도 기술이다.

3세대 OLED TV 패널은 화소 당 5,117개(77인치 4K 기준), 총 424억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고도로 정밀하게 만들어 그간 내부 반사로 소실되는 상당량의 빛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했다.

독자 개발한 휘도 강화 알고리즘(메타 부스터)도 적용됐다. 영상의 각 장면(Scene) 마다 밝기 정보를 정교하게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조절해 화면의 밝기와 색 표현력을 더욱 높여주는 기술이다.

LGD는 “3세대 OLED TV 패널은 잠자리가 수백만 개의 볼록한 겹눈 구조로 360도를 보는 것처럼 수백억 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통해 현존 TV 중 가장 넓은 시야각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LGD는 올해 양산하는 4K 55/65/77인치와 8K 77/88인치 등 프리미엄급 OLED TV 패널에 메타 테크놀로지를 우선 적용하고 향후 전 라인업으로 확대하면서 하이엔드 TV시장에서 OLED 주도권을 강화할 계획이다.

LGD 이현우 대형 사업부장(전무)은 “초격차 기술인 메타 테크놀로지의 개발 성공은 OLED TV 화질이 기존 제품과는 비교할 수 없는 새로운 차원으로 진화했다는 의미”라며 “OLED TV 시장의 선도자로서 최고의 화질과 라인업 등 차별적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