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팹리스 스타트업 오픈엣지테크놀로지가 7나노(nm) 공정기술을 적용한 LPDDR5X, HBM3 메모리 표준을 지원하는 물리계층(PHY) IP 테스트 칩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최고 속도 8533Mbps LPDDR5X용 메모리 표준을 지원하는 7나노 테스트 칩 개발은 세계 최초라는 게 이 회사의 설명이다. LPDDR5X 이전 메모리 표준과의 호환도 가능해 선택의 폭도 넓혔다고 부연했다.
오픈엣지는 “독자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온칩(SoC)과 D램 간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오픈엣지의 DDR 메모리 컨트롤러 IP제품과의 시너지로 저전력 DDR 메모리에서 차별화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LPDDR5X는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가 정한 LPDDR DRAM 표준이다. LPDDR5에 이은 차세대 고성능·저전력 메모리로 중앙집중 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달리 분산된 엣지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엣지컴퓨팅 용도로 전력 소모와 처리 속도를 최적화한 점이 특징이다.
한편 오픈엣지는 8.4Gbps 고대역폭메모리(HBM3) 표준을 지원하는 PHY IP 테스트 칩도 개발했다. HBM3는 고성능 컴퓨팅(HPC),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의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 표준이다.
오픈엣지는 기존에 보유한 메모리 컨트롤러 IP와의 효과적인 최적화를 통해 대폭적인 성능 개선을 이뤄냈다고 전했다.
오픈엣지 이성현 대표는 “이번에 선보인 LPDDR5X 및 HBM3용 7나노 PHY IP 테스트 칩은 시장의 요구에 선행 개발되며 최고 속도도 구현했다”고 전하며 “속도뿐만 아니라 방대한 데이터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의 테스트 칩 개발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기술력으로 입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단독] 팹리스 1세대 넥스트칩, 日 상용차 ‘히노(HINO)’에 아파치5 공급한다
- 지멘스EDA, 팹리스 스타트업 치플레츠에 EDA 툴 공급
- 퓨리오사AI, 글로벌 영입 인재로 해외시장 사업 본격화
- AMD, “친환경 데이터센터 이슈?, 우리가 젠 아키텍처를 만든 이유”
- MCU 시장 7위 누보톤, “파나소닉 반도체 인수 시너지 낸다”
- 팹리스 VSI, 내달 日요코하마서 ASA 표준 고속 링크 솔루션 시연
- 사피온 X220 AI칩, ML퍼프(ML-Perf) 추론 벤치마크서 성능 입증
- “韓 대비 경제규모 작은 대만, 반도체 대기업 2배 많다”
- [포토] 삼성 이재용, “기술 중시, 반도체 초격차로 미래 만들자”
- 미디어텍, 인텔파운드리(IFS) 공정 기반 엣지디바이스용 칩 생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