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공력해석 워크샵서 솔버 능력 입증

NASA-DPW2 해석 케이스 [사진=이에이트]
NASA-DPW2 해석 케이스 [사진=이에이트]

국내 기술로 전산유체유동해석(CFD) ‘엔플로우(NFLOW)’를 개발한 이에이트가 시뮬레이션 전처리 과정을 지원하는 N3D 웍스(WORKS)의 항공 특화 버전을 15일 공개했다.

이날 선공개된 N3D WORKS는 시뮬레이션 전 단계에서 필요한 전처리기 솔루션으로 높은 호환성과 다차원 모델링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올해 상반기 정식 상용화될 예정이며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 가능하도록 해석 도메인도 다변화한다는 목표다.

시뮬레이션 수행 전 대상이 되는 물체의 형상을 생성하고 촘촘한 격자를 만들어 작은 영역으로 분할한 뒤 계산을 위한 수치 값을 입력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계산 정확도가 결정된다. 

N3D WORKS는 형상을 인식해 최적의 다중-세밀화 격자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격자 생성기술을 지원하는 점이 강점이다. 이날 공개된 항공분야 버전은 비행체가 요구하는 고도와 속도의 범위에서 최소의 저항으로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한 외형을 결정할 수 있는 공력해석에 특화됐다. 

이에이트는 “항공공학 업계에서 공력 해석의 표준이라고 볼 수 있는 DPW-2 해석에서 공력계수들을 정확하고 빠르게 예측하면서 제품의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DPW(Drag Prediction Workshop)는 미국항공우주학회(AIAA)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주관하는 공력해석 워크샵이다. CFD 시뮬레이션 관련 글로벌 기업과 학계, 공공 기관이 기술력을 비교 검증하고 해석 기법을 개선하기 위해 DPW의 모델 해석 결과를 활용한다.

DPW2-멀티 GPU 선을 벤치마크
DPW2-멀티 GPU 선을 벤치마크

이에이트는 이번 결과물을 위해 최대 16개의 고성능 GPU를 동시에 사용하여 병렬연산이 가능한 최고 수준의 멀티-GPU 기술을 적용했다. 기존 8-GPU 대비 2배 늘어난 수치로 대규모 연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팅 파워도 높였다.

효율적인 로드밸런싱 기술로 16-GPU 상에도 안정적으로 연산 부하를 분산하면서 병렬연산 처리를 할 수 있다는 게 이에이트의 설명이다.

이에이트 김진현 대표는 “항공분야와 같이 대규모 해석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시뮬레이션 패키지 솔루션으로 확장하여 정확도와 사용자 편의성을 높여갈 것”이라며 “기존 NFLOW SPH 또한 대규모 수자원 해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성능을 개선한 2.0 업그레이드 버전을 상반기 내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