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심포지엄서 기조연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이 “인공지능(AI) 시대에서 기술 혁신의 중심은 메모리반도체이 있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15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림대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 심포지엄에서 ‘AI 시대, 한국 반도체가 나아갈 길’ 주제의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박 부회장은 “IT기술은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발전하며 삶을 윤택하게 만들었다. AI 시대가 펼쳐지면서 우리의 삶은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화했으며, 그 변화의 중심에서 혁신을 견인한 것이 메모리반도체”라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아이폰의 혁신사례를 들며 “아이팟이 첫 출시될 때 하드디스크(HDD)가 사용됐으나 낸드플래시 메모리가 HDD를 대체하면서 전세계 스마트폰 혁신을 견인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박 부회장은 “챗GPT 등 AI 시대가 펼쳐지고 관련 기술이 진화하면서 글로벌 데이터 생성, 저장, 처리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라며 “이러한 흐름 속에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최고속 D램인 HBM은 AI 시대 기술 진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HBM3를 양산해 엔비디아에 납품하고 있다. HBM 최신 세대인 HBM3는 풀HD 영화 163편을 1초에 전송할 수 있는 초당 819기가바이트(G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박 부회장은 “CPU에 직접 연결되는 기존 메모리 용량 확장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CXL 등 공유 메모리의 역할도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 우수인재 육성, 정부의 반도체 생태계 강화 노력, 미래 기술 준비가 필수라고 조언했다.
박 부회장은 “현재 예상으로는 2031년 학·석·박사 기준으로 총 5만4000명 수준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국 지역 거점 대학에 반도체 특성화 성격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기업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학계가 함께 반도체 생태계를 활성화할 플랫폼으로 미니 팹 구축도 제안했다. 미니 팹(Mini FAB)은 반도체 생태계 기업과 학계의 연구결과나 시제품 분석·양산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반도체 공정을 간소화한 형태로 팹(FAB) 장비 환경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전세계 반도체 강국들이 연구와 테스트를 위한 300mm(12인치) 기반 미니 팹을 보유해 반도체 기술을 경쟁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으나 국내는 200mm(8인치) 기반 미니 팹만 보유한 상황이다.
SK하이닉스는 2027년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내에 미니 팹 성격의 300mm 기반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계획하고 있다.
박 부회장은 “서버용 D램이 DDR5로 전환되면 2022년부터 2030년까지 누적 29.2TWh의 전력을 감축할 수 있다. 이는 약 1,167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추산된다”며 “반도체가 고효율·고성능 제품 개발로 지구와 인류에 기여하고 이러한 리더십이 다시 업계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수출 부진, 새해에도 이어졌다…11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
- SK하이닉스 4분기 실적발표, 10년만에 적자전환 ‘어닝쇼크’
- 삼성 4분기 실적발표, 반도체 영업익 2천억원대 ‘어닝쇼크’
- “5나노 컨트롤러 탑재”…삼성, PC용 고성능 NVMe SSD 양산 개시
- SK하이닉스, 10억 달러 규모 지속가능연계채권(SLB) 발행
- 올해 파운드리·로직 장비 매출액 16% 증가…“첨단 노드 수요가 견인”
- 3D 낸드·D램 수율 최적화…KLA, 엑스레이 계측 포트폴리오 확장
- 애플도 탈중국화 움직임…中 장저우 아이폰 생산기지 이전 고려
- 삼성, 1Tb TLC 8세대 V낸드 양산 시작
- 삼성,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3 17일 전세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