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6년에 로봇 배송, 2027년에는 드론 배송 상용화를 추진한다. 육·해·공 물류정보 통합 플랫폼도 구축해 민간기업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20일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물류산업도 물류창고의 자동화·무인화 등 첨단화가 진행 중이나 노동집약적 산업이라는 과거 이미지가 여전하고, 물류시설 설치와 화물차량의 운행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국내외 정책여건을 고려해 우리 물류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려 신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전략을 마련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최근 ICT·AI 등 혁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물류산업도 첨단 기술이 융·복합 되는 등 디지털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 및 우위 선점을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국토부는 “과감한 규제 개선과 민간의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해 우리기업이 글로벌 신 물류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스마트 물류 인프라를 조기에 구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2026년 로봇 배송, 2027년 드론 배송 조기 상용화 등 차세대 물류 서비스 조기 구현에 나선다.
국민 체감도가 높은 무인배송을 조기에 상용화하기 위해 민간의 기술개발 및 실증을 지원하고 물류 전용 테스트베드 조성도 추진한다. 또 무인배송 법제화와 안전기준 마련 등 신기술의 일상 안착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단계적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플랫폼·IT 등 여러 분야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도 구성하고 사업화 모델을 발굴하는 등 민간 주도 혁신을 유도한다.
AI 기반 당일배송 시스템 구축도 포함됐다. AI·빅데이터 기반 전국 초단시간 배송 구현을 위해 도심 내 주문배송시설(MFC)의 입지를 허용하고 민간의 낙후된 물류창고의 디지털전환 지원과 민간 물류기술 연구개발 지원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자율주행 화물차가 주행가능한 시범운행 지구를 지정하고 안전기준을 마련하는 등 화물차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도 추진한다. 2027년까지 기존 도시철도를 활용한 지하 물류운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물류 전용 지하터널에 대한 기술개발도 나선다.
도심 내 물류용지 부족으로 인한 물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심지역에도 첨단 물류 거점을 조성한다. 신도시 개발의 경우 개발사업자가 사전에 생활 물류시설 용지를 확보하도록 할 예정이다.
도심 인근지역에는 고속도로, 철도부지 등 유휴부지를 활용해 부족한 물류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안도 담겼다.
한편 물류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을 위해 국내·외 물동량, 창고, 수출입 정보 등 산재돼 있는 물류정보를 통합해 육·해·공 물류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민간에 개방, 기업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물류시설 인근지역은 교통안전관리구역으로 지정해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고 도심 내 화물·택배차가 안전하게 하역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로변에 물류 전용 조업공간 조성도 추진할 계획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핵심산업으로 성장한 물류산업이 우리나라의 초일류 국가 도약에 일조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했다”며 “물류산업의 새로운 혁신을 통해 국민의 삶이 편리해지고 국가 경제가 한층 성장하고 도약할 수 있도록 추진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카오 ‘UAM 퓨처팀’, ‘2023 드론쇼코리아’서 공동부스 운영
- 홈퍼니싱 업계에 부는 ‘순풍’…DT 가속화, B2B 전략 확산 ‘경쟁 치열’
- 오라클·우버, OCI 도입·활용 ‘맞손’…라스트마일 혁신 협업
- 클로봇, 스마트 물류센터 구축 본격화…물류로봇 사업 확장
- 국토부, 스마트시티 혁신 서비스 모델 검증·확산 공모사업
- KT 운송 플랫폼 ‘리스포(LIS’FO)’, 롯데온에 확대·적용
- 국내 수출기업 40%,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원자재 가격 오를 듯”
- “車경량화·스마트팩토리 신기술로 뚫는다”…日시장 출사표 던진 강소中企
- 카카오엔터, 아세테크와 AI 기반 물류 혁신 ‘박차’
- “인공지능(AI)칩 스타트업, 위기와 기회 공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