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올해 하반기 유상 드론배송 서비스를 시작한다. 인천시는 대형 드론을 개조, 해상 구조에 필요한 장비·물품을 운반하는 실증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항공안전기술원과 함께 올해 드론실증도시로 제주도 등 15개 지자체를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제주도, 서울, 인천, 울산, 성남, 영월, 음성 실증도시로 선정된 지자체는 사업 규모와 서비스 내용에 따라 국비를 차등 지원받는다.
제주도는 올해 하반기께 서귀포 남서쪽의 가파도 130여가구를 대상으로 드론 배송 서비스를 시작한다. 가벼운 일반 물품이 드론으로 배송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와 가파도에 드론 이착륙장을 마련하고 드론 비행로를 설정할 계획이다. 드론식별시스템과 드론 안전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성남시는 중앙공원과 탄천 주변에 드론 배송지점을 설치하고 공원 내에서 편의점 물품을 주문하면 드론으로 유상 배송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김천, 전주, 영월, 서산, 태안 등에서도 섬과 산간마을에 드론이 투입돼 물품 배송을 한다.
인천시는 100㎏을 운송할 수 있는 대형 드론을 개조, 해상 구조에 필요한 장비와 물품을 운반하는 실증을, 울산시는 원자력발전소 재난에 대응한 방호 물품 드론운송 운용모델을 실증한다.
국토부는 택배를 받기 불편한 도서 지역부터 시작해 도심 내 공원 지역까지 드론 배송 상용화 지역을 점차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올해는 드론배송 체계가 상용화되는 K-드론 배송의 원년”이라며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여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KAIST, 대전 방산 특화 개발연구소 구축…“첨단 드론 연구 본격화”
- 로봇·드론배송 상용화 빨라진다…국토부,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안 공개
- 초소형 AI로봇키트 공개한 SKT, “원격제어·영상관제로 활용처 다양”
- 카카오 ‘UAM 퓨처팀’, ‘2023 드론쇼코리아’서 공동부스 운영
- 중기부, 규제자유특구 성과 발표…‘투자유치 4조, 매출 1천억, 고용 4천명’
- “드론으로 통신탑 노후화 점검 OK”…SKT, 안전점검 시스템 지능화
- 국내 연구진, 도심서 드론 무력화 ‘안티드론’ 기술 개발
- 무인이동체(Drone) 활용한 배송 서비스 현실화 ‘성큼’
- 국내 무인이동체 산업, 3년간 연평균 39% 성장세 기록
- 국토부, 드론 기업 17곳 선정…상용화 지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