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회의에서 참여자 신원 확인 지원
줌비디오커뮤니케이션즈가 글로벌 보안기업 옥타의 ‘옥타 엔드투엔드 암호화 인증(E2EE)’을 도입하고 화상회의 기능에 보안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솔루션 도입은 비대면 업무환경에서 접속자의 신원을 확인해 보안을 강화하는 의미가 있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이번 조치로 E2EE가 적용된 줌 미팅에서는 이메일로 참가자의 신원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아무것도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한다’는 제로트러스트 전략 아래 다른 솔루션을 도입할 필요 없이 줌 미팅에서 옥타 E2EE로 간편하게 회의 참가자 검증을 지원하는 것이다.
회의 참가자의 신원 인증이 완료되면 줌 미팅 참가자의 이름 옆에 파란색 방패 아이콘이 추가되며 모든 회의 참가자는 아이콘에 마우스 커서를 대면 나타나는 팝업창에서 회사 도메인과 이메일 주소 등 인증된 정보를 확인해 회의 참가자의 신원을 대조해볼 수 있다.
계정 관리자는 먼저 옥타에서 ‘줌 E2E’ 앱을 다운로드하고 ‘줌 E2E 암호화를 위한 옥타 인증’ 기능 플래그를 활성화하면, 이후 줌 웹 포털의 보안 탭에서 옥타 E2EE을 활용할 수 있다.
관리자가 옥타 E2EE 기능을 활성화하면 사용자는 설정에서 E2EE가 적용된 회의에서의 신원 공개 여부를 정할 수 있으며, 참가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인증과정이 진행된다. 2단계 인증을 설정한 경우에는 로그인 정보로 인증을 마치기 위해 옥타 웹페이지로 연결된다.
줌은 옥타 E2EE 기능을 통해 '토글링 세금'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토글링 세금이란, 업무 중 여러 앱을 사용하는데 낭비되는 시간과 비용을 의미하며, 줌은 옥타 E2EE로 추가적인 시간 소요 없이 보안을 확보하면서 협업을 전개할 수 있다.
관련기사
- 가트너, “전세계 근로자 39%, 하이브리드 근무체제로 전환”
- “업무 유연성 확대,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 효과 있다”
- 토스랩, 유니포스트와 기업용 협업 툴 시장 확대 '맞손'
- MS, 챗GPT(ChatGPT)로 구글과 전면전…생산성·검색 앱에 확대 고려
- 비대면 업무환경의 뉴노멀화…디지털 워크플레이스 혁신이 뜬다
- “직장인만 쓰나? 대학생도 쓴다”…온라인 협업툴 Best 3 톺아보기
- 사이버戰, 상상 아닌 현실…“국가 배후 해킹조직 공격 늘어날 듯”
- “원격근무 뉴노멀 시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툴을 알아보자”
- 한국MS, 하이브리드 업무지원 서피스 신제품 2종 출시
- 늘어난 원격근무 환경, 데이터보안 취약점 노출 증가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