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완공, 친환경 에너지로 탄소중립 달성 목표
슈나이더일렉트릭이 4천만 유로(약 578억원)를 투자해 헝가리 두나베체(Dunavecse) 지역에 새로운 스마트공장을 착공한다. 이 공장은 슈나이더일렉트릭이 유럽지역에 세운 36번째 스마트공장으로 2만5000㎡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이 공장에서는 1·2차 배전반, 저전압 캐비닛 및 부품, 육불화항 프리(SF6 Free) 에어셋(AirSeT) 중전압 배전반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2024년 완공 예정인 이 공장은 지열 에너지와 태양열을 통해 현장에 전력을 공급하고 슈나이더일렉트릭의 에코스트럭처(EcoStruxure) 아키텍처/플랫폼을 통해 운영된다.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해 탄소중립(넷제로) 실현을 목표로 구축한다는 게 사측 목표다.
새로운 스마트공장은 30대의 전기차(EV) 및 25대의 전기자전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빗물 저장 시스템을 설치한다. 사무실 센서를 설치해 조명 및 에어컨을 제어해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트럭 승하차 정거장과 출입구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잠금 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스마트빌딩 솔루션도 도입된다.
프레드릭 고드멜 슈나이더일렉트릭 전력 사업부·서비스 사업 부사장은 “유럽은 전략지역 중 하나”라며 “유럽은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에너지 자립을 강화하고 있다. 새로운 스마트공장은 유럽에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슈나이더일렉트릭의 비즈니스 사례를 보여준다”고 전했다.
얀 레이노드 슈나이더일렉트릭 글로벌 ETO 사업부문 수석부사장은 “내년에 구축 예정인 이 스마트공장은 중전압 기술을 위한 유럽의 핵심 거점”이라며 “고객사를 위해 많은 역량을 구축하고 더 많은 혁신, 지속가능성과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엔솔, 마더 팩토리 육성 본격화…“6천억 투입, 마더 라인 구축”
- “대기업 퇴직전문가, 中企 스마트공장 구축·운영 지원”
- 중기부, 특성화고 지원 ‘학교자율·조기지원’ 개편한다
- LGU+, 플랫폼베이스와 MOU…’무전원 디지털락’ 서비스 론칭
- 영림원소프트랩, 한탑 ERP 구축 프로젝트 완료
- 진정한 IoT 시대를 견인하는 DECT NR+ 표준의 등장
- LG전자, 창원 R&D센터서 협력회 정기총회…“ESG·DX 역량 확보하자”
- 삼성, 근거리 RF칩 ‘엑시노스 커넥트 U100’ 정식 공개
- 한국지멘스DI,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서 스마트제조 솔루션 선봬
- 로크웰, ‘2023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서 제조업계 DT 솔루션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