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D램 가격이 1분기보다 최대 18%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0일 트렌드포스는 “주요 업체들의 D램, 낸드플래시의 감산 발표에도 수요 약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일부 제품의 평균판매단가(ASP)는 2분기에 더 하락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렌드포스는 D램은 13~18%, 낸드는 8~13% 더 하락할 것으로 봤다.
PC와 서버·모바일용 D램이 전체 D램 소비의 85% 이상을 차지한 상황에서, 트랜드포스는 DDR4, LPDDR5의 높은 재고물량이 D램 가격을 끌어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PC용 D램의 경우 공급업체들이 재고를 줄이고 있으나 DDR4의 쌓인 물량으로 거래량이 회복되지 않고 있으나, 공급이 부족한 DDR5는 DDR4 대비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다. 트렌드포스는 2분기 PC용 D램의 ASP는 15~20% 더 하락할 것으로 봤다.
수요 약세로 인해 DDR4 재고 부담이 크게 늘어난 서버용 D램의 경우 가격 하락폭은 18~23%까지 확대됐다. PMIC 호환성 문제로 DDR5 공급이 제한됐으나, DDR5의 점유율이 여전히 낮은 상태로 가격 변동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예측했다.
스마트폰 업체에서 재고 조정을 어느정도 마무리한 모바일용 D램의 경우 여전히 공급업체에 대한 재고 압박이 높아 추가 가격변동이 예상된다고 트렌드포스는 전했다.
기업용 SSD, UFS가 전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낸드플래시 또한 공급과잉 상황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기업용 SSD와 UFS의 2분기 ASP 하락폭 모두 10~1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의 4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3월보다 19.89% 내린 1.45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1월 18.1% 급락한 후 2∼3월에 제자리걸음을 보이다 다시 낙폭을 키웠다.
낸드 가격도 하락했다. 메모리카드·USB향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 4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3.82달러로 전월비 2.93% 하락했다.
관련기사
- 전장반도체 1위 獨 인피니언, 규모 2% ‘노어플래시’ 영역에 눈돌린 이유
- SEMI, “2026년께 12인치 팹 생산능력 최고치 경신할 듯”
- SEMI, “올해 글로벌 팹(Fab) 장비 투자액, 전년비 22% 크게 줄 듯”
- 인피니언, 대만 파운드리 UMC와 협력…“차량용 MCU 생산 늘린다”
- SK하이닉스 박정호, “AI시대 기술 혁신, 메모리가 견인할 것”
- 4세대 에픽(EPYC) 프로세서 공개한 AMD 리사 수, “제 두 번째 마법은요”
- 삼성, 美 텍사스에 반도체공장 11곳 신설…“20년간 약 2천억 달러 투자”
- “지난달 낸드플래시 3%대 하락, 3분기 D램 ASP도 하락 전망”
- 키옥시아, WD와 욧카이치 팹에 공동투자…메모리 생산라인 확충
- 하반기 서버·모바일용 D램 가격 약세…그래픽 D램 일부 상승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