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반도체심사추진단이 LG디스플레이(LGD), 주성엔지니어링 등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와 ‘지식재산 제도 개선 간담회’를 열고 산업계 현안을 논의했다.
국내외 디스플레이 기업 간 격화되고 있는 기술 경쟁이 특허분쟁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소재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간담회는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의 애로사항을 듣고 이를 제도 개선에 반영하고자 마련됐다.
간담회에서는 ▲국내 반도체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추진단의 설립 취지 ▲국내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특허청의 주요 정책이 소개되고 ▲디스플레이 분야 특허제도 개선 방안이 논의됐다.
참석기업 관계자들은 “부가가치가 높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위주로 사업구조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전세계 시장에서 초격차 우위를 지켜가기 위해서는 첨단기술이 특허로 신속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며 OLED에 대한 우선심사제도 도입을 요구했다.
특허청 박재일 반도체심사추진단장은 “간담회를 통해 특허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을 되짚고, 디스플레이 핵심기술이 적기에 보호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의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 핵심인력·기술의 해외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 3월 반도체·디스플레이 민간 전문가 30명을 심사관으로 채용했다”며 “앞으로 민간 전문가를 추가로 채용할 예정으로 산업계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中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 2025년 韓 넘어설 듯”
- LGD, “폼팩터 혁신, 차량용 디스플레이 점유율 50% 달성할 것”
- 내년도 주요 R&D 예산 21조5000억원…올해보다 13.4% 줄었다
- LG전자, 마이크로LED 사이니지 ‘매그니트 올인원’ 글로벌 출시
- SK하이닉스·동반성장협, ESG 경영 실천 공동 선언
- “향후 5년, OLED 발광재료 시장 성장률 7.7%”
- 칩스법·IRA 등 韓·美 경제협력 이슈 부상…한경연, “양국 간 협력 강화해야”
- 삼성D, 중소형 AMOLED 시장 1위…中 BOE 맹추격
- ETRI, 디스플레이·광통신 부품기업 자립화 지원 확대
- 국내 연구진, 화질저하 없는 저전력·고명함비 OLED 기술 개발
최태우 기자
taewoo@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