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아카데미, 2023년 IT산업 주요 키워드 발표
알리바바그룹의 연구 이니셔티브인 다모아카데미(DAMO Academy)가 3년간 발표된 논문과 특허출원 분석을 포함해 약 100명의 과학자, 기업가, 엔지니어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올해 IT산업에서 주목해야 할 10개 키워드를 공개했다.
다모아카데미는 ▲생성AI(Generative AI) ▲듀얼엔진 디시전 인텔리전스(Dual Engine Decision Intelligence) ▲클라우드네이티브 보안 ▲사전학습 멀티모달 기초모델(Pre-trained Multimodal Foundation Models) ▲클라우드인프라처리장치(CIPU) ▲지능형 반도체(PIM) ▲대규모 도시 단위 디지털트윈(DW) 등 신기술에 주목했다
다모 아카데미는 생성AI가 디지털 콘텐츠 제작 앱의 발전과 함께 영상 제작의 다양성, 창의성, 효율성 등을 더욱 향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운영최적화와 머신러닝(DL)을 통합한 듀얼엔진 디시전 인텔리전스 기술을 통해 기업과 산업군은 운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다모아카데미가 꼽은 2023년 IT산업 10대 키워드는 아래와 같다.
◆생성AI의 활용 범위 확장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오디오 파일을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AI는 현재 주로 시제품과 초안 제작에 활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게임, 광고, 그래픽 디자인 등의 시나리오 제작에 활용될 수 있으며, 기술 고도화 및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콘텐츠 제작의 다양성과 창의성, 효율성을 향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3년간 생성AI가 상용화됨에 따라 관련 비즈니스 모델과 생태계도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듀얼엔진 디시전 인텔리전스를 통한 운영효율화
운영연구(Operation Research)에 기반한 전통적인 의사결정 방식은 불확실성의 한계가 있으며 규모의 문제에 대한 대응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학계·산업계는 ‘의사결정 최적화 툴(Decision Optimization)’에 ML을 적용했다. 2개의 엔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의사결정의 속도와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실시간 전기 공급, 항만 처리량 최적화, 공항 주기장 배정, 제조공정 개선 등 동적이고 포괄적인 자원 배정을 필요로 하는 업무에 활용될 전망이다. 지역 자원 할당 시나리오에서 개체와 스케일을 확장하고 역동적, 포괄적, 실시간 자원 할당도 실현할 것으로 보인다.
◆클라우드네이티브 보안
클라우드네이티브 보안은 클라우드 인프라에 내재된 보안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네이티브 기술을 통해 보안 서비스를 개선한다.
보안 기술과 클라우드 컴퓨팅은 컨테이너화 구축부터 마이크로서비스, 서버리스 모델까지 발전해 높은 통합성을 보인다. 보안 서비스는 네이티브화, 세분화, 플랫폼 중심화 및 지능화되고 있다.
향후 3~5년간, 다양화된 클라우드네이티브 보안은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에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환경에서도 엔드-투-엔드의 동적이고 정확한 보안 시스템 구축을 보다 용이하게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전학습 멀티모달 기초모델
사전학습 멀티모달 기초모델은 AI시스템 구축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인프라로 부상했다. 다양한 모달리티를 기반으로 지식을 제공하는 이 기술은 향후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작업 전반에 걸쳐 기본 인프라의 역할을 하며 AI시스템의 추론, 답변, 요약 및 생성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드웨어/소프트웨어(HW/SW) 통합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클라우드인프라처리장치(CIPU)를 중심으로 새로운 클라우드 아키텍처가 등장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정의(SDx), 하드웨어 가속 아키텍처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높은 탄력성, 민첩성을 지원한다.
CIPU는 차세대 클라우드 서비스의 표준이 되어 핵심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전문 칩 산업을 위한 새로운 개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엣지·클라우드 시너지 기반 예측 패브릭
‘호스트 네트워크 공동 설계 네트워크 시스템’인 ‘예측 패브릭(Predictable fabric)’은 고성능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컴퓨팅과 네트워크 서비스는 점차 통합되고 있으며 클라우드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칩, 하드웨어, 아키텍처, 플랫폼의 풀 스택 혁신 통해 핵심 네트워크가 될 전망이다.
이는 현재의 ‘TCP 기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대체하고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와 향후 광역 클라우드 백본 네트워크 전반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컴퓨테이셔널 이미징
점차 부상하고 있는 컴퓨테이셔널 이미징 기술은 전통 이미징 기술과 달리 수학적 모델과 신호 처리 역량을 통해 라이트필드 정보를 심층 분석할 수 있다.
이는 이미 휴대폰 카메라, 의료 산업 전반, 자율주행 등에서 대규모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렌즈리스(Lensless) 이미징, 비가시선(NLOS) 이미징 등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애플리케이션도 개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칩렛(Chiplet)
칩렛 기반 설계를 통해 제조업체는 시스템온칩(SoC)의 구성요소를 여러 개의 칩으로 분산시켜 개별 공정으로 분리 후 생산해 인터커넥트 및 패키징을 통해 SoC로 재조립할 수 있다. 칩렛의 인터커넥트 표준은 점차 단일 표준으로 통합되어 칩렛의 산업화를 촉진하고 집적회로(IC)의 연구개발 과정을 변화시킬 주요 키워드로 부상했다.
◆지능형반도체(PIM)
지능형반도체(PIM)는 통합 CPU와 메모리를 한 개의 칩에 통합해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향후 CIM(compute-in-memory) 칩은 클라우드 기반 추론 등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전통 컴퓨팅 아키텍처를 혁신하고 데이터 기반 아키텍처로 발전해 클라우드 컴퓨팅, AI, IoT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도시 단위의 디지털트윈(DW)
대규모 도시 단위의 디지털트윈(DW)은 도시 거버넌스에 새롭게 접근하는 개념이며 교통 거버넌스, 자연재해 예방 및 관리, 탄소 중립과 정점 등 시나리오의 주요 성과를 이뤄냈다. 향후 더 다차원적이자 자율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 모빌리티 경연장 된 ‘CES 2023’…완성차-빅테크 간 경쟁우위 각축전
- 올해 주목할 지능형 자동화 트렌드…“고객·직원경험 개선이 핵심”
- 현대모비스, “SW-반도체 통합 플랫폼 개발한다”
- 엔비디아, 폭스콘과 자율주행 전기차(EV) 개발 ‘맞손’
- 올해 아태지역 디지털 트렌드는 ‘앰비언트 컴퓨팅’·‘인더스트리5.0’
- “분산 클라우드가 대세”…오라클, 2023년 클라우드 전망 보고서 발표
- 알리바바, CNN-GAN 적용한 정밀 예보 플랫폼 공개
- [그것을 알려주마] 자체 반도체 설계 나서는 빅테크 기업들…이유는?
- 알리바바, 차세대 서버칩 ‘이티안710’ 공개…“RISC-V 코어IP는 무료 개방”
- 차세대 반도체, 양자컴퓨팅, 클라우드네이티브…올해 주목해야 할 IT산업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