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음영지역서 RIS 적용, 주파수 대역별 최대 60배 개선 확인
KT가 LG전자, 코닝과 함께 6G 주파수 후보 대역별로 동작하는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표면(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를 개발·검증했다고 26일 밝혔다.
RIS는 투명한 유리나 패널형태의 전파 반사체를 전파가 통과하기 어려운 건물 내부의 복도나 유리창에 부착해 전파의 도달 범위를 늘리는 기술이다. 전파의 파장 길이를 고려해 설계돼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조와 소재, 동작 방식이 다르다.
26일 KT에 따르면, 현재 주파수 후보 대역이 논의되는 6G 시대를 대비해 LG전자·코닝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주파수 대역별로 다르게 동작하는 RIS의 성능을 검증했다.
3사는 6G 주파수 후보 대역으로 관심을 받는 FR3 대역의 8GHz, 15GHz 대역과 밀리미터파(mmWave) 대역 등에서 유리·다이오드·액정소재 등 다양한 시료로 제작한 RIS를 검증했다.
무선통신 품질이 약한 복도와 사무실에서 RIS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한 결과 작게는 4배, 크게는 60배까지 주파수 대역별로 무선통신 성능이 개선됐음을 확인했다고 KT는 밝혔다.
특히 15GHz 대역의 RIS는 전력 소모가 없는 투명한 유리소재로 구성돼 건물 내 다양한 환경에 적용하기 쉽고, 8GHz 대역의 RIS는 반도체소재로 구성돼 소량의 전력으로 전파의 입사와 반사 방향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점을 확인했다.
3사는 이번 검증결과를 통해 향후 다양한 소재의 RIS를 활용하면 주파수 대역에 따라 발생하는 무선 음영 지역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에 확보한 검증결과는 RIS를 비롯해 6G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연구 데이터로 활용할 계획이다.
LG전자 CTO부문 C&M표준연구소장 제영호 상무는 “6G는 기존 이동통신 대비 높은 주파수 대역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비용효율적으로 커버리지 확보가 가능한 RIS 기술로 통신 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이번에 검증한 RIS 기술은 무선 네트워크 체감 품질을 높이고 통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라며, “국내외 연구 기관, 제조사와 협업해 5G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6G 생태계를 확대하면서 무선망 기술개발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하이닉스, 퀄컴과 모바일용 D램 ‘LPDDR5T’ 성능검증 완료
- LGU+, 오픈랜 공용 플랫폼 검증…“가상화 장비 통합관제로 효율성 개선”
- LGU+, 양자내성암호(PQC) 적용한 산업용 USIM 상용화
- ETRI, 24일 개막 ‘한국전자전’서 최신 ICT 연구성과 공유
- 삼성, 美 실리콘밸리서 초거대AI 겨냥한 HBM3E ‘샤인볼트’ 첫 공개
- SKT, 국내 최초 400Gbps 급 백본 상용망 도입한다
- LGU+, 6G 비전·통신망 핵심기술 담은 백서 발간
- KT·ETRI 공동 주관 ‘네트워크 AI 해커톤’ 성료…최신 AI기술 개발경험 공유
- KT 김영섭, “변하지 않으면 강제혁신…디지털 서비스 우선해야”
- SKT, ‘아이온 글로벌 포럼’서 6G 백서·모바일 프론트홀 실증결과 공유